미리 정해진 약속을 깨지고 남는 시간 떼우려 돌아다니다 우연히 만난 친구가 있다고 치자.

어머, 너 여기서 만나다니! 뭐 해? 시간 되는 거야?

아니면 모임에 참석했다 돌아가는 길, 그 모임에서 본 사람과 지하철 옆자리에 앉게 되었다.

우연히 만난 친구와, 우연히 옆 자리에 앉은 거의 초면인 사람과 대화를 시작했는데

한두 마디 오가는 중 삘이 빠악 통하면서 베프 될 예감이 드는 경험.

드물지만 있다.


출간 되었다 조용히 묻힌 [융 심리학] 책 찾기 놀이가 취미인데, 

그 놀이 하다 찾은 책이다. 

영웅의 딸 : 여성들의 영웅 심리와 그 불안을 파헤치는 새로운 페미니즘 에세이


은유와 상징에 꽂혀서 그 동네 책을 찾아 검색, 검색, 검색 하는 중 만난 책이다.

『여성, 타자의 은유 : 주체와 타자 사이


두 책, 아니 두 여성 저자를 오가며 새로운 나를 만났다.

줄을 서 있던 후보들을 제치고 여름 휴가 책으로 선정된 것이 『여성, 타자의 은유』이기도 하다.

두 책, 아니 두 저자와의 만남이 신선하고, 고요하고, 깊었다.

대학 1학년 때 읽었던 (그 어려운) 여성학 (고천) 책들이 나를 새로운 세계로 데려갔던 것처럼.

까지는 아니지만.

그 누구도 아닌 '나'를 여성주의 시각으로 다시 바라보도록 눈을 닦아 주었다.

젊고 열정 넘지고 독이 오를대로 오른 페미니즘에 위축 되기도 하고,

피로감도 느껴져 그 분야 책이 장바구니에 담아지질 않았다.


융 심리학을 찾다 얻어 걸려서, '은유와 상징'이란 주제에 낚여서 

지금 꼭 먹어야 할 책을 먹게 된 것 같다.


<영웅의 딸>이란 아버지와 자신을 동일시하고 성공을 추구하는 가운데 남성을 모방하는 여성을 일컫는다. 그녀는 어린 소녀였을 때 아버지의 딸로서 아버지를 이상화 하고 어머니는 거부한다. (중략)

아버지와의 지나친 동일시와 아버지처럼 되고하 하는 아버지의 딸들의 욕망은 그들이 여성으로서의 정체성에 편안하게 다가가지 못하게 했다. (중략)

<아버지의 딸>이 아버지와 남자들의 세계를 모방하면서 일찍부터 그녀의 남성적인 성품을 발전시킨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의심할 여지가 없다. 그러나 아버지와의 지나친 자기 동일시는 딸에게 자신감과 세상에서의 경쟁력을 심어주지만, 어머니와의 분리 속에서 그녀는 여성성에 깊은 상처를 받게 된다.(중략)


기독교반성폭력센터 글쓰기 자조모임에서 '부정적 감정'을 불러 일으키는 존재를 떠올리며 글을 쓴 적이 있다. 참가자 넷  중 세 사람의 주제가 아버지였다.  내적여정에서 어린시절 작업을 하면서도 마찬가지이다. 아버지보다 엄마를 동일시하는 딸이 더 많고, 둘 다 고통의 근원이었을 테지만 아버가 준 고통을 더 강하게 기억하는 경우가 많다. 이제 와 생각하면 이 지점에서 감정이입 하지 못했다. 강의 할 때나 글에서 공공연히 밝히곤 했지만, 내가 인식하는 것보다 훨씬 더 아버지와 동일시 되어 있고, 심지어 우상화 했고, 동시에 아버지의 착한 딸이 되고자 애를 쓰고 있었는지. (알았지만 실은 몰랐다) 엄마를 혐오하고 아버지를 이상화 하는 것처럼 무의식적으로 여성인 나를 스스로 낮추며 이율배반적으로 외부의 남성 권위에는 분노하고 대항한다. 당연히 왜곡된 가부장적 하나님이 이미지를 가졌고, 그것이 영적 여정의 걸림돌이기도 하다.(역시나 알았지만 몰랐다) '아버지의 딸인 나'와의 갈등이 페미니스트로, 나다운 여자 사람으로 살아가는데 부대꼈던 바로 그 지점 중 하나였다. 머리가 아니라 가슴으로, 지식이 아니라 성찰의 거울로 새로 배울 여성주의이다. 이 나이에.  


메리온 우드맨(Marion Woodman)은 세상의 모든 딸들은 개인적인 아버지와의 관계에서 <아버지의 딸>들이 아닐지 모르지만, 지배적인 가부장적 문화의 측면에서는 대부분 여성들이 <아버지의 딸>이라고 했다. 현대 여성해방운동의 출발 이후로 여성들은 직업 세계에서나 가정, 학교, 그리고 정치적인 분야에서 동등한 권리를 얻기 위해 남성드을 상대로 투쟁해 았다. 그러나 여전히 많은 여성들은 자신이 얼마나 깊게 그들 아버지의 가치를 반영하고 있는지를 알지 못한다. <아버지의 딸>은 자신 속에 아버지의 시각을 내면화하고 있기 때문에, 아버지와 자신을 강하게 동일시하면 할수록 그녀는 더욱더 개별적인 정체성 수리에 어려움으르 겪게 된다. 


'사이' 또는 '경계'라는 말에는 늘 끌린다. 몇 년 전 <철학상담>을 들을 이후로 '레비나스'는 늘 마음 한 켠에 살아 있는 이름이다. 니체, 레비나스, 데리다를 저자 자신의 말로 들려주니 들리지 않을 수가 없다. '타자 철학자들이 언어화의 한계 너머에 있는 타자의 타자성을 가시화 하기 위해 여성 은유를 사용하지만', 이때 여성은 현실의 여성이 아님을 잘 설명해준다. 타자의 철학에 있어서조차 여성은 타자가 되는 것이다. 내가 <아버지의 딸>로서 아버지의 눈으로 나를 타자화 시켜 50년을 살아온 것처럼 말이다. 결론이 철학자답게 관념적이어서 차라리 실천적으로 다가온다. 책의 마지막 부분이 참 좋다. 내 주장을 잠깐씩 침묵에 가두고 들어야 한다.  주체와 타자 '사이', 그 비결정적인 것에서 '들어야'한다.


이 모든 비판적 읽기 이후에, 우리가 도달하게 되는 지점은 어디인가? 타자가 주체가 되어야 하는가? 주체가 타자로 하여금 말할 수 있게 하여야 하는가? 주체가 타자를 해할 수 있다고, 이해하고자 한다고, 그런 의미에서 타자의 자리에 들어설 수 있다고 믿어야 하는가? 주체 안의 타자들, 확실성과 동일성으로 말끔히 포착되지 않는 이질성의 요소들, 그것이 더 근원적이고 본질적인 것을 아닐까? 그렇다면 결국 우리는 타자의 분절화되지 않은 소리, 구조화를 거부하는 이야기, '비결정적인 것', 침묵으로 가라앉지도 언어로 떠오르지도 못하는 흔적을 들을 수 있어야 하는 거싱 아니겠는가?

사람들 사이, 주체와 타자 사이, 그 사이에 무엇이 있는가? "사람들 사이에 섬이 있다." 아니다. 사이에 섬은 없다. 오직 경계 지워지지 않는는 이질성과 혼동이 있을 뿐이다. 그 사이를 들어야 한다. "우리가 원할 수밖에 없는 것이 정의로운 사회라면......"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