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 교회, 펠로우십
풍경은 사람 풍경이라고 생각한다. 좋은 풍경이라도 사람이 담겨야 내게는 비로소 의미가 된다. 내 평생 뉴질랜드 남섬 여행만큼 멋진 풍경을 몰아서 마주한 적이 없었는데. 그래도 결국 마음에 남는 것은 그 배경의 사람이다. 남편과 둘이 여행하면 좋은 풍경에 내 독사진, 몇 장 안 되는 JP 사진, 각도 참 안 좋은 셀카 정도인데. 이번 여행에선 커플 사진을 많이 건졌다. 그 모든 사진 중 참 좋은 사진은 넷 단체사진인데, 얼마나 마음에 드는지 너무나 자랑하고 싶어서 여행이 끝나기도 전에 페이스북에 공개했었다. 사진마다 표정이 좋고, 표정보다 더 좋은 설명할 수 없는 무엇이 있다. 그중에서도 최애는 후커 밸리 트래킹 끝에서 만난 마운틴 쿡 배경의 빙하호수 배경의 네 인물이 담긴 사진이다.
고고씽 뉴질, 남섬 원정대 담당 업무 : JS 대장 / YS 회계 및 실세 / JP 총무 / SS 서기 및 유흥
남섬 여행을 위한 공식 첫 회의에서 업무분장이 있었다. 참으로 적절한 업무분장이었고, SS를 제외한 나머지 원정대는 정말 감동적으로 임무를 수행해 주셨다. 벌써 두어 달 전의 기억이 된 이 여행의 제목은 내게 "얹혀간 여행"이다. '기록'에 관한 한 각자의 방식으로 타고난 네 사람이라 내가 담당한 '서기'의 의무는 의미가 없었다. 여행 계획과 여정과 회계에 관한 정확한 기록, 여행 후 디테일한 기억의 기록에 얹혀서 여행을 누리고, 다녀와서는 힘들이지 않고 추억을 복기한다. 이렇게 여행하면 한 번쯤 싸워야 하는데... 우리 왜 안 싸워? 이런 심정. 심지어 돌아와 해단식 같은 지난 주일 모임에서도 한 번쯤 싸웠어야지, 우리 왜 안 싸웠어? 서로에게 물었다. 그러게요? 우리 왜 안 싸웠을까요?
(다 커서 찾아간 교회를 모교회라 해도 좋을지 모르겠지만) 모교회에서의 인연이다. 둘 다 이런저런 교회 경험과 환멸 속에 방황하다 찾은 교회였다. 그 청년부에서 만나 결혼했고, 거기서 두 아이를 낳았고, '한영동산'이라 불리던 교회 앞의 동산은 우리 아이들에겐 유년 시절 비밀의 숲이다. 좋았던 교회이다. 어느 순간 교회를 옮길까 고민하던 시점이 있었다. 뭔가 공허하고 채워지지 않는다는 느낌이었고, 교회 문제라기보단 우리 문제가 아닐까 싶었던 것 같기도 하다. 형식적 교회에 만족하지 못했다. 진정한 공동체가 있을 것이고, 우리가 일궈가야 한다는 생각을 했다. 그때나 지금이나 우리는 정말 '공동체'에 목을 매는 커플, 한쌍의 바퀴벌레이다. 공동체를 찾고 싶었다. 그때, 교회를 '가정교회 시스템'으로 전환한다는 소식을 들었다. 가정교회로의 전환이 급진적이라 판단되었던 것일까. 여성들 위주의 구역모임을 '가정(또는) 부부 중심'의 소그룹으로 실험적으로 운영하는데 우리 구역이 뽑힌 게 신의 한 수(또는 악마의 한 수)였다. 그로부터 시작한 가정교회 시스템이 정말 좋았고, 교회를 옮길 마음이 싹 사라졌다.(아, 그러고보니 남편은 가정교회 주제로 논문을 썼었네!) 그리고 그때가 뉴질 원정대 JS, YS, JP, SS 드림팀 구성의 시작이었다.
실은 이 처음의 이야기들을 잊고 있었다. 뉴질랜드 여행은 '뉴질랜드 펠로우십 교회'를 돕는 일로 시작되었다. JS 대장님의 오랜 Kosta 인연으로 개척부터 도운 교회이다. 개척 후 5년의 세월이 흘렀고, 꾸준히 성장하는 교회의 리더십을 새롭게 하는 일을 돕고자 하는 것이 여행의 주요한 목적이었다. 어... 어... 하다 얼떨결에 합류한 NFC 리더십 수련회를 비롯하여 주일 예배, 무엇보다 수시로 있던 모임에서 나는 적잖이 감동을 받았고, 많이 부러웠다. 인생 가장 치열한 시간을 사는 세대였는데, 교회를 향한 열정으로 그냥 시간과 마음을 내는 사람들이었다. 아, 나도 한때 그랬던 적이 있었지. 내 교회가 내 삶이었던 적이 있었지. 교회가 공동체였고, 공동체가 그냥 교회였지. 그때가 그때였다. 서재석 목짠님, 박영수 목녀님과 함께 했던 드림목장 시절이었다.
수련회도 했고, 주일 예배도 함께 했고, 그리고도 모여서 저녁 먹으며 시간을 보냈는데... 월요일 밤에 이들은 또다시 모였다. 소그룹 리더들이 모였다. 바로 그 모임에서 지난 시절 우리의 드림, 교회와 공동체를 향한 꿈이 모두 소환되었던 것 같다. 모임이 좋았다. 와하하하 웃으며 질의응답을 하는 중 소그룹에서는 리더와 함께 리더를 돕는 헬퍼가 꼭 있어야 한다는 이야기를 나누는 중, 남편이 "제가 부구역장이고, 대표님이 구역장이셨다니까요."라고 했는데. 아, 그랬었다. 실험적 부부구역에서 구역장과 부구역장이었었지! 그리고 시작된 가정교회인 '드림목장'에서 공동체의 꿈을 살아봤던 것 같다. 우리 부부로서는 청년부 리더로 살아온 세월이 있었지만, 앞선 세대들과 마음을 나누는 교회를 처음 경험해 본 것이다.
그땐 그랬지... 그런데 우리를 그렇게 뜨겁게 달구었던 공동체의 경험, '가정교회'는 '모' 교회로부터 떠나와야 하는 이유가 되었다. 시기도 이유도 조금은 달랐지만 결국 두 분과 우리는 그 행복했던 시절을 뒤로하고 거기를 떠나왔다. 그리고 '드림목장'의 경험을 기쁘고 아프게 간직한 채 교회를 향한 '드림'을 일정 정도 접고, 접은 만큼의 실망감과 그만큼의 허허로워진 마음으로 각자 낯선 교회 공동체에 어정쩡하게 몸담고 있다. 그래도 만나면 여전히 대화의 주제는 '교회'이다. 뉴질랜드 펠로우십교회, 갈등과 반목으로 상처받아 피 흘리는 모교회, 그리고 여러 교회, 우리들의 교회 이야기들...
목짠님, 몽년님. 좀 보편적인 호칭으로 바꿔보고 싶은데 여전히 두 분을 이렇게 부르게 된다. 실험적 공동체, '부부구역' 시절의 구역장과 부구역장의 관계로 시작한 드림목장 시절의 호칭이다. 교회와 공동체가 내 안에서 하나였던, NFC 교회 형제자매들의 열정에서 보았던 그 시절의 호칭이구나 싶다. 좋은 경험일수록 카피되지 않는 것이다. 그 시절로 족하고, 오늘까지 이어지는 만남으로 족하고, 한 번쯤 있어줘야 할 싸움도 없이 풍성한 여행으로 족한 이 여행이 교회이고 공동체이다. 뉴질랜드, 펠로우십, 교회는 우리 넷 사이에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