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조수석에 앉아서 문자 메시지를 보내고 있었다.

입으로 오디오 지원하면서 작성하는 중.

'저는 가는 날에는 셔틀 타지 못하구요,

다음 날 엄마랑 같이.....같이..... 구개음화....'

뭐라고? 지금 뭐라는 거야?

으흐흐흐. 들었어? 아, 이번 국어 시험범위였는데 '같이'는 '구개음화'야.

엄마 시험공부한 게 자꾸 너무 많이 생각이 나.

내가 공부해보니까 말야 티브이 예능 자막에도 철자법 틀린 게 많이 나온다.

저번 주 런닝맨에서 말야...... 피동사에....ㅏㅏㅠㅂㅓㅜㅛ=#$.......이렇더라.

참, 사람들이 무식해.

 

#2

한강에서 자전거 타다 넘어진 상처가 빠르게 나아간다.

드레싱 밴드도 떼고 아물어가는 손바닥의 상처를 보고는 채윤이가 반색을 한다.

엄마 손 많이 나았네.

다행이다. 빨리 나아서..... 체세포 분열....

엄마 이렇게 상처가 낫는 건 엄마 몸에서 체세포 분열이 계속 일어나고 있긴 때문이야.

우힛, 과학 시험범위야.

아흐, 나 진짜 유식하지?

 

 

#3

엄마, 나 이번에 이차함수부터 진짜 수학이 좋아졌어.

풀면 딱 정답이 나오는 게 너무 시원하고 좋아.

심지어 시험 끝났는데도 수학 문제 풀면서 놀까? 이런 생각이 난다니까.

아, 나 수학 좋아!

 

 

==============

 

초등학교 입학 전 한글을 떼는 것은 이제 선행학습 축에도 못 드는 것 같지만.

'이제'가 아니라 채윤이가 초등학교 가던 그 시절에도 그랬지만.

꿋꿋하게 교육에 관한 순결을 지켜 '까막눈'인 채로 아이를 공교육에 보냈었다.

그땐 소신이 있었지만 돌아보면 잘한 짓인가 싶을 때가 있다.

글자를 배우는 것은 '준비가 되었을 때, 자발적인 동력에 의해' 시작되어야 한다는 소신이고.

최초의 공부가 글자공부일 텐데 첫 경험이 즐거워야 공부에 대한 긍정적인 마인드를 가지게 될 거라는 논리였다.  

그런데 그게 내 각본대로 되지 않았던 것.

초등학교 입학하자마자 어마무시하게 어려운 받아쓰기가 시작된 것이었다.

가갸거겨 하던 채윤이가 '닮았습니다. 싫었습니다. 자리에 앉아' 이런 단어를 써야했다!!!! 

받아쓰기 봐주던 그 1년은 내 생애 통틀어 가장 고래고래, 열폭했던 나날이었다.

(채윤아, 미안해)

일부러 한글 가르칠 필요 없다. 다 때 되면 터득한다. 즐겁게 배우는 것이 필요하다. 

이런 자신감 넘치는 조언을 이제는 하지 못한다. ㅠㅠㅠㅠ

 

그러나 내 인생도 길고 채윤이 인생도 길어서 말이다.

초등학교 1년이 끝은 아니었다.

비록 까막눈으로 시작한 공교육인 데다

태생적으로 자유로운 영혼인 데다

주입식 교육에 대한 내성이 전혀 없는 상태로 시작한 터라

(공부 머리가 없다는 말은 하지 않겠다)  

긴 고통의 나날은 있었지만 공교육에 한 8년 정도 찌들더니 의외의 빛이 보이기 시작한다.

시험공부를 힘들어하면서도 즐거워한다는 것.

즐겁게 하는 공부 중에 침잠하는 것들이 있어서 조금씩 유식해진다는 것.

이렇게 한 8년 지내면 완전 공부 잘하는 애가 될지도 모르겠단 생각이 들 정도.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