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생네 2번, 3번이 와서 이틀 자고 갔다. 고모집에 오면 맛있는 것을 주고, 특히 고기를 맛있게 해줄거라는 기대를 가지고 온다. 기대에 부응하되 최선을 다해서 부응할 작정으로 아이들을 불렀다. 마침 집에 유배되어야 하는 상황이라 여러 끼니를 챙겨 먹일 수 있었다. 

 

 

맛으로든 양으로든 메뉴 선정의 신박함으로든 기대 그 이상을 해주리라 마음 먹었다. 동생은 연년생 1번, 2번을 포함하여 삼형제를 키우고 있다. 워낙 잘 먹고, 특히 고기를 잘 먹는 남자 아이 셋이서 먹는 것 포함 모든 것을 경쟁하며 자라고 있다. 그러니까 조카들을 한 놈, 두 놈씩 따로 우리 집에 부를 때는 그 경쟁의 일상에서 생긴 결핍감을 보상하려는 뜻이 있는 것이다. 

 

 

'결핍'이 아니라 '결핍감'이 문제라면 문제다. 충분히 먹었는데 충분하지 않다고 느끼는 결핍감. 모든 심리적인 문제, 중독도 결국 결핍감에서 기인한다. 무엇을 먹어도, 무엇을 누려도, 셋이 나누어야 하는 구조가 조카들 사이의 역동을 유발한다. 게다가 연년생 두 녀석은 사춘기. 작심을 하고 집에 오게 하여, 뭐든 맛있게 만들어서 충분히, 물리도록 먹게하고, 놀게 하는 것이 이 아이들의 고모된 기쁨이다. 말 안 듣는 사춘기 녀석들이 고분고분 착한 말로 "아니요. 배불러요. 그만 먹을래요" 라고 말하는 걸 보는 기쁨.

 

 

애정이든, 물건 집착이든, 결핍감의 치유는 충분히 채워져서 흘러 넘치는 경험이 전제 되어야 한다. 오랜 심리치료와 내적 여정을 통해 몸으로 배운 진리이다. 영혼의 결핍감을 밑 빠진 독이라 비유할 때, 어떻게 해도 그 독은 채울 수 없는 것인가? 유일한 방법은 빠져 나가는 물보다 들이붓는 물의 양이 더 많으면 잠시라도 채워지는 것이다. 항아리 뚜껑 열고 쏟아지는 소낙비를 맞는다면. 그것이 잠시 잠깐이라도 채워지는 경험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것이 어쩌면 영성적 치유의 본질이다. 근본적으로 그 항아리를 큰 물에 던지는 방법이겠고, 그것이 헨리 나우웬 신부님 등이 말하는 '사랑받는 존재'에 대한 깨달음일 터. 피부를 입은 하나님으로 이웃에게 다가가라 우리를 부르셨다면, 사람 사람의 밑빠진 독을 맡기신 것 아닐까 생각하게 된다. 근본적으로 큰물(무한한 아가페 사랑의 샘)이 될 수 없는 한계를 지닌 인간이지만. 쉬지 않는 바가지 질을 하더라도 찰나라도 누군가의 마음을 채울 수 있지 않을까? 그래야 하지 않을까? 그런 마음으로 20여 년 아이들 치료를 했고, 내적 여정을 이끌고 있다. 물론, 내 바가지의 한계를 뼈저리게 느끼고 있다.

마음성장연구소 열고 1년, 내 마음 바가지의 크기를 처절하게 확인하고 좌절도 했지만. 할 수 있는 것을 하고, 할 수 있는 만큼 하는 것에 대해 몸으로 배우도 했다. 적어도 이틀 정도, 우리 조카들 위와 마음을 맛있게, 멋지게, 물리도록 고기로 채워줄 수 있었다. 고모 자부심 뿜뿜이다. 

'음식, 마음의 환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탄 떡볶이  (3) 2020.05.22
무청과 고등어  (0) 2020.02.28
마늘 명란 떡볶이  (0) 2019.10.05
파마늘 떡볶이  (2) 2019.09.21
내 마음 내가 아는 요리  (0) 2019.08.2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