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공적인 모임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사적인 것도 아닌 부모 모임에 갔다. 만남의 기대보다는 아이디어를 내놓고 회의 비슷한 것을 하게 되리라 기대했다. 회의 비슷한 방식으로 대화가 시작되었지만 결국 자기 이야기가 나왔다. 부모들, 특히 남들 한다고 다 하는 식으로 아이를 키우지 않겠다는 부모들의 모임이니 각자 고민이 이만저만 아니다. 그런 부모들이니 한발 물러서서 보면 참 의식 있고 용감해 보이지만. 좋아 보이는 만큼의 불안함을 지니고 있다. 그런 이야기가 흘러나오자 뒤로 기댔던 몸의 무게중심이 앞으로 쏠리고, 사람들의 말에 귀가 커지기 시작했다. 채윤이 대학입시를 통과하고, 어렵사리 현승이 고입 진로를 결정하고 한시름 놓았다 싶었지만, 실은 여전히 흔들리고 불안한 나 자신을 보게 된다. 나와 비슷하지만 다르게 키우는 부모들, 다르게 커가는 아이 얘기 들으며 어쩐지 마음이 새로운 자리로 간다. 대학을 자발적으로 포기하고 제 좋은 일을 한다는 어떤 아이. 모든 부모가 입을 모아 부럽다 했지만, 실은 나도 남편도 참 부럽다 했지만 우리 현승이가 그리될 수 없다는 것을 안다. 그럼에도 마음에 시원한 바람 한 줄기가 분다. 일반고 가기로 했지만 언제든 돌이킬 수 있다는 생각이 들고, 마음에 여유가 생긴다. 


이야기의 힘이다. 규정하고, 가르치는 태도, 편을 갈라 옳고 그름을 따지려는 태도를 무장해제 시키는 것은 이야기의 힘이다. <스토리텔링 애니멀>은 내가 강의하거나 글을 쓰기 때문이 아니라, 인간이기 때문에 '이야기'에 목을 맨다고 일러주었다. 낮이나 밤이나, 어릴 적이나 나이 먹어서나, 함께 있을 때나 혼자 있을 때나. 이야기 속에 파묻혀 살았고, 살고 있다는 것을 말이다. '교인들이 설교 본문이고 주제고 다 잊어버리고 예화만 기억한다.'는 설교자들의 흔한 불만도 다 이유가 있었던 것이다. 교인들이 애니멀, 스토리텔링 애니멀이었던 탓이다. 그러니 기억에 남을 설교를 원한다면 살아 있는 이야기를 들려달라. 성경이 온통 이야기 아닌가. 


<재즈처럼 하나님은>도널드 밀러는 말 그대로 이야기꾼이다. <천년 동안 백만 마일>에선 모든 이야기의 구조, 그 구조를 밝히며 자신의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모든 이야기는 한 문장으로 정리할 수 있다. 한 인물이 무엇인가를 원하여 갈등을 극복하고 그것을 얻어 낸다.’ 나의 하찮은 일상이 맥락 있는 이야기 속 한 장면이라면 조금 낫지 않은가. 이야기의 힘을 알고, 백분 활용하여 베스트셀러 작가가 되더니 이제 '이야기 사업가'가 된 것 같다. 도널드 밀러의 최근작 <무기가 되는 스토리>는 사업, 영업하는 이야기이다. 이야기로 영업하는 이야기를 쓴 이야기이다. 기독교 아닌 일반 서적으로 아마존 베스트셀러 1위를 했다니 그야말로 이야기로 출세한 사람이다. 마케팅도 이야기라는 것이다. 내가 뭘 줄 수 있는지 지루하게 늘어놓는 영업은 사람들 귀를 막기 딱 좋다고 한다. 이야기를 만들어 고객님을 이야기 주인공에 세우고, 고객님이 받아가실 것을 알려야 장사가 된다는 것이다. 암튼 이야기로 출세하신 도널드 밀러님, 부럽씸더.


읽은 지 한참 됐지만 소설가 정유정의 <이야기를 이야기하다>, 위기철 선생님의 <이야기가 노는 법>도 꺼내어 기념촬영 해봤다. 소설, 동화 작법에 관한 이야기이지만 재미있고 유익했었다. <이야기가 노는 법>은 특히. 내적 여정, 꿈 집단, 치유 글쓰기 집단을 하면서 더욱 이야기의 힘을 믿게 된다. 그 누구도 아닌 자기의 이야기를 하는 사람은, 할 수 있는 사람은 이미 건강한 사람이다. 설령 깨어지고 상처 난 이야기 외에 내놓을 말이 없다 하더라도, 이야기를 시작한 이상 이미 건강한 사람이다. 남은 생애 '이야기느님'만 믿고 따르겠노라 나를 봉헌하고 싶은 심정이다. 책을 읽더라도 읽은 책으로 인해 달라진 자기 이야기를 할 수 있어야 하고, 누구와 싸웠더라도 싸움의 기승전결을 아울러 자기 이야기를 들려줄 수 있어야 하고, 기도하다 실망했더라도 나만의 기승전결을 찾아야 한다. 남은 생을 이야기에 봉헌한 자의 결심이다. (생래적 이야기 짐승이라 결심도 필요 없는 일이겠으나)


이야기에 삶을 봉헌할 때는 부작용도 있다. 잘난 척 하기 위해서 작위적으로 만든 기승전결들을 들어줄 수가 없다. 물론 듣는 척은 잘한다. '다시는 이 사람과 얘기하지 말아야지!' 다짐하며 친절하게 고개를 끄덕일 수도 있다. 부작용이 있지만 그리 아쉽지는 않다. 세상 모든 사람을 사랑할 수 없듯, 모든 사람의 말에 귀 기울일 수 없으니. 모임에서 수줍게 자기 이야기를 꺼내놓고 울림을 주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자기 경험을 보편화 하여 가르치려 들고 다른 사람을 틀렸다 규정하는 사람도 있다. 그런 사람이 말을 길게 하면 부작용이 급성으로 나와서 막 집에 가고 싶고, 스마트폰 꺼내서 페북 보고 싶고 조급증이 생긴다. '워워~ 귀담아듣지 않아도 돼. 채윤 현승 싸울 때 하는 것처럼 안 들림, 안 들림, 하고 귀를 쳐! 너가 다 아는 부작용 증상이니 급하게 마음먹지 말고. 안 들어도 돼, 안 들어도 돼. 너보고 뭐라 하는 거 아냐.' 이런 말로 달래면 된다. 


여하튼 나는 스토리텔링 애니멀로서의 정체성을 찾았으니 더욱 이 정체성을 확립하여 살겠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