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여행은 오래되던 우울의 터널을 빠져나오기 프로젝트였다.

예전에 복지관에 다닐 때였다.

채윤이를 보시던 엄마가 골다공증과 고혈압으로 쓰러지다시피 하시고 7개월 채윤이를 하남에 맡기고 사당동에서 살던 때다.

몸과 마음이 지칠대로 지쳐 있어서 헤어날 길이 없었다. 엄마를 봐도 채윤이를 봐도 눈물만 흘렀다.

'쉼'이 필요했다. 몸과 영혼이 쉬면서 찾아야할 것들이 있었다.

설상가상으로 장염에 걸려서 밥도 못 먹고 열은 오르락 내리락...링거를 맞고 버티는 상황이었다.

또 설상가상. 8개월된 채윤이가 장이 꼬여서 한 밤을 지새우면 고양이 울음을 내며 고통스러워하다 입원을 했다.

 

바로 그 때!

서울에 엄청난 폭우가 쏟아졌고 내가 다니던 복지관이 완전 물에 잠기는 바람에 곡절 끝에 한 달 휴관을 하였다.

한 달이 아니라 한 40여일 되었던 것 같다. 즉, 40여일 휴가를 받게 된 것이다.

사람 사람마다 여러 다른 상황이었겠지만 그 때 그 40일은 분명 내게는 하나님이 주신 특별휴가였다.

 

이번 여행도 그와 비슷한 셈이다.

원래는 금요일에 지리산에서 MBTI 강의와 결혼강의를 하는 계획이 있었고 목요일에 아이들 두고 남편과 함께 내려가기로 했었다.

갑자기 월,화 이틀간 민들레 공동체 탐방이 있으니 함께 가자는 연락이 왔다.

같이 가고 싶은 마음 있었으나 일주일에 장거리 여행을 두 개를 잡는다는 것이 쉽지 않을 것 같았다.

그 때 남편이 제안을 했다. 어차피 둘 다 지리산 근처니까 애들 데리고 일주일 동안 여행을 하자.

잠은 민들레 공동체에서 이틀, 지리산 수련회장소에서 하루, 그리고 찜질방에서 하루 자면 된다!

 

돌파구가 필요하다고 느껴졌기에 그러겠노라 했다.

 


출발하면서 함께 기도했다.

"하나님 이번 여행에 함께해주세요.

좋은 사람들을 만나서 교제하고,

우리 가족이 함께 시간을 보내면서 사랑을 확인하고,

회복되는 여행이 되게해주세요"




외향형이긴 하지만 감정형인 나는 낯을 많이 가리는 편이다.

쌩판 모르는 사람을 적극적으로 사귀는 자리로 가는 것도,

처음보는 사람들에게 찾아가 더플더플 말을 건네고 하는 것도 내게는 꽤 불편하다

남편의 학교 동기들을 만나서 하룻밤을 보내는 일이 그래서 부담이 되었다.

그래도 민들레 공동체의 대표이신 김인수박사님이 정말 괜찮은 분이라니

(남편이 지난 학기에 한 번의 특강을 듣고는 그 분의 인격과 삶에 뿅 가버렸다)

나머지 것들은 훈련이라 여기며 공동체를 찾았다.

 

산책을 하고, 장작을 패 보고, 불을 피워 고구마를 구워 먹고,

그리고 한 30여 년 만에 '자치기'를 하며 오후를 보냈다.

가끔씩 '자치기'를 하고 싶다는 생각을 정말로 했었다. 아무리 생각해도 이 놀이의 정확한 순서가 생각나질 않았었다.

공동체에 사는 준규라는 아이가 자치기를 갖고 놀길래 같이 하다보니 그 순서가 새록새록 생각이 난다.

그저 각자 또는 같이 마음 가는대로 시골의 정취를 마음껏 느꼈다.






저녁을 먹고 김인수박사님의 말씀을 들을 수 있었다.

도대체 시대정신이 무엇인지도 모를 요즘의 시대, 세계화, 도시...이것에 대한 대안을 '공동체'에서 찾았고 성공하신 분이다.

다 옮겨 적을 수 없는 주옥같은 말씀들이다.

이 말씀이 주옥같을 수 있는 이유는 하나다. 삶과 말이 다르지 않다는 것.

20년 동안 삶으로 살아낸 얘기를 하는데 어찌 감동과 전율을 느끼지 않을 수 있을까?

공.동.체.

이 분이 하고 있는 공동체란 무엇인가? 같이 먹고 자고 서로의 삶을 평생 경제적으로 책임져주는 공동체이다.

이것을 위해 먹을 것을 비롯해서 전기까지도 자급자족을 하신다.




그냥 자전거가 아니라 저걸 타고 패달을 밟으면 전기가 만들어지는 발전기 자전거다.

이것과 풍력발전 등등으로 전기까지 자급자족할 뿐 아니라 조만간 남는 전기를 한전에 팔 수도 있다한다.


그러나.

먹고 입고 사는 것이 해결된다고 어디 공동체가 굴러가는 것이더냐?

공동체로 모인 사람들의 문제, 즉 '관계문제'에서 발이 꼬이지 않는 것이 공동체의 성패를 좌우하는 것이 아닐까?

이런 의문을 품고 어설픈 질문을 해봤으나 그리 힘겨워 하지 않는다는 느낌이다.

잠깐 동안 이야기를 나누면서도 느낄 수 있는 인격의 아우라가 분명 있었다.

사람들 때문에 힘든 것이 왜 없을까만은

'부름심'에 충실한 삶을 살려할 때,

'자기'가 비워지고 또 비워졌을 때는 다른 눈과 귀를 가질 수 있지 않을까?

 

"가르치다니요? 우리가 뭘 가르칠 수 있습니까? 그저 살라고 하신 그 삶을 사는 것입니다.

절대 가르치는 것과 배우는 것은 둘이 아닙니다"

목사가 되어 '하나님 말씀'을 가르쳐야겠다고 하는 신대원생에게 그렇게 물으셨다.

"사람들이 여러분보다 성경을 모른다고 생각하세요? 인터넷으로 좋은 설교 얼마든지 들을 수 있고요...

여러분의 설교로 사람들이 정말 뭘 배우게 될까요?"

그렇다!

나는 가끔 그런 생각을 한다. 남편이 목사가 되고 설교를 할건데 설교를 통해서 정말 뭔가를 가르칠 수 있을까?

가끔씩은 평신도로 앉아 있는 나도 여러 설교들을 무시하고 귀를 막을 때가 있다.

 

문제는 삶이다.

이 분의 말씀이 하나 하나 귀에 쏙쏙 들어오는 것을 진한 삶의 향기가 있기 때문이다.

'내가 뭘 가르치겠다'는 의식이라곤 없이 그저 열심히 하나님 앞에서 살아낸 고백이 있기 때문이다.

남편의 설교가 교역자로서의 특권의식에서 나오지 않기를 위해서 끊임없이 기도하고 감시하리라.

도시 교회에서의 대안을 무엇을까 하는 질문에 교회 속 교회, 즉 소그룹 공동체를 언급하셨다.

삶은 결코 사람들과 유리되어서는 안된다.

교역자는 성도들과 일정정도의 거리를 두어야 한다든지,

목사나 사모는 자신의 삶의 얘기를 성도들과 할 것이 아니라 교역자들 끼리만 나누는 것이 미덕이라든지,

이런 의식이 남편과 내게 둥지를 틀지 않았으면 좋겠다.

삶이 있는 설교는 위해서는 늘 공동체 안에서 자신을 개방하고 함께 기도할 때 가능한 것이 아닐까.

 

피곤한 시간이었지만 한 마디도 놓치지 않으려고 마음의 귀까지 쫑긋 세우고 말씀에 집중했던 것은

이번 여행을 통해서 들려주시고자 하시는 성령님의 음성이 거기 베여 있다고 느꼈기 때문이다.

때로 박사님의 말씀과 전혀 상관없는 통찰이 마음에서 울렸고 그것 역시 성령님의 울림이었다는 생각이 든다.



 


기도방이다.

여기 들어가 기도하고 싶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는데 선뜻 행동에 옮기질 못했다.

언젠가 여기에 다시 가서 오랜 시간 머물고 또 저기 앉아 기도하는 시간이 다시 오지 않을까?




 

나는 이상하게 가장 결정적인 순간에는 사진 찍는 걸 잊는다.

아니면 이런 순간에 카메라를 드는 건 너무 수선을 떠는 것 아닐까 하는 생각 때문에

박사님 얼굴은 담아오질 못했다.

'그리고 또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족  (0) 2007.07.07
[터널끝여행]외로움과 친구되어  (0) 2007.07.07
집에 돌아와  (0) 2007.07.07
밥줄ㅜㅜ  (0) 2007.07.07
이사를 일주일 앞두고  (0) 2007.07.0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