쉰둘에 대박이 난다는 얘길 들었다. 내 사주가 그렇단다. 임상 심리학 교수로 은퇴하신 선생님께서 취미 삼아 배운 역학으로 사주를 봐주셨다. "너는 진즉에 박사를 했어야 하는데..." 하시다가 "이제라도 해볼까 봐요" 하며 이 학교 저 학교 얘기를 하면 "추천할 곳이 없어." 하셨었다. 그런 얘기 끝에 "정 선생, 생년월일시 알아?" 하시더니 백지에 알 수 없는 한자를 쭉 쓰셨다. 다시 남편 생년월일시를 물으시고 또 이 얘기 저 얘기하시다 "남편하고 아주 잘 맞는구먼! 니가 지금 몇 살이야? 쉰둘에 활짝 펴겠다."라고 하셨다.

 

쉰둘의 한 해가 간다. '활짝 펴겠다'(정확하게 이 표현도 아니었던 것 같지만)를 내 방식대로 '대박이 난다'로 들었고, 바로 잊었고, 늘 생각하고 있었다. 대학 졸업 이후 한동안 4년 단위로 인생이 달라졌다. 직업, 전공, 연애, 실연, 결혼, 출산.... 4년 단위로 인생의 그래프가 꺾였다. 언젠가 한 번 꼽아보니 그랬다. 전공과 직업(본업)이 바뀌고 바뀌는 인생이다. 집도 계속 바뀌어 열두 번째 이사를 했으니 변화무쌍한 인생이다. 가끔 쉰둘에 정말 어떤 내 인생 한 방 터지는 것 아닐까 생각하곤 했다. 쉰둘의 해 2020년, 엄마가 떠났다. 대박 사건이긴 하다. 설마 이걸로 내가 활짝 피어나겠는가.  대박 사건이 터져야 할 쉰둘에 팬더믹 세상을 사느라 '사건'이 일어날 여지가 없어져 버렸다.

 

사람 떠난 자리에서 비로소 그가 보인다. 엄마 떠난 자리에서 평생 알았던 엄마가 아닌 사람 '이옥금'이 보였다. 엄마 떠난 자리에서 엄마를 다시 보게 된 쉰둘의 한 해였다. 시간도 그럴 것이다. 도통 이름 붙여지지 않을 2020년의 낯선 시간은 지나고 나면 다시 보일 것이다. 그러니 쉰둘 2020년이 대박인지 한 해 두 해 지나며 두고 볼 일이고 아직 몇 시간이 남았으니 기다려 볼 일이다. 안팎으로 쉽지 않았던 2020년을 살아 냈다는 것, 엄마 따라 죽지 않고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12월 31일을 맞았다는 것은 장하고 장한 일이다. 

 

읽고 쓰고 기도하며 살아 남았다. 쓰기의 흔적은 블로그에 고스란히 남아 있다. (엄마 애도 일기는 출간 예정이라 비공개로 전환해 둔 상태) 알라딘 서점 통계를 보니 130여 권의 책을 구매했다. 선물한 책도 있으니 100여 권의 책을 읽었나 보다. 봄에는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 '애도'에 관한 책 외에는 읽히지 않았다. 읽기의 정상성을 회복한 후에도 어떤 편향은 사라지지 않았다. 최근 몇 년의 경향이긴 하다. 리처드 로어, 이현주 목사, 앤서니 드 맬로, 이승우, 엔도 슈사쿠, 엘리 위젤 등을 제외하면 모두 여성 저자들이다. 한 권의 책이 마음에 들면 그 저자의 전작을 읽는 습관이 있다. 올해의 저자는 마사 C. 너스바움과 앤 윌슨 섀프이다. 몇 년 전  『혐오와 수치심』로 만났던 마사 너스바움은 이제야 비로소 제대로 만나기 시작했다. 더디게 읽히는 책이지만, 전작 독서가 될 때까지 만남을 이어가게 될 것이다. 앤 윌슨 섀프의 『중독 사회』는 여성들의 치유 공동체를 일구며 사는 내 손에 들려진 지침서 같았다.

 

무엇보다 소중한 만남은 노르위치의 줄리안, 아빌라의 테레사, 시에나의 카타리나 중세 여성 신비가들을 원저로 만난 것이었다. 전에도 한두 번 들어 읽고 밑줄을 긋곤 했지만 만남이라 하긴 어려웠다. 그냥 어려웠다. 뜻은 알아 들었지만 다른 언어로 읽는 느낌이었다고 할까. 아침마다 몇 페이지 씩 읽으면 기도하고 싶은 마음이 절로 들었다. 딱 하루 분량의 사랑이 한 챕터에 담겨 있었다. 『계시』와 『완덕의 길』은 말라가는 영혼을 잔잔한 물가로 인도하였다. 무언가 그리워 다시 손에 잡은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는 박완서 선생님과의 새로운 만남이었다. 젊은 날에 좋다고 읽었는데, 쉰둘에 다시 읽으니 책 속에 들어가 앉아 있게 된다. 

 

이렇듯 읽으며 살았고, 또 쓰며 힘을 얻었다. '여자로 말하기 몸으로 글쓰기'라는 이름으로 치유 글쓰기 모임을 여러 번 가졌다. 쉰둘에 있을 거라던 대박사건이 이것이었을까. 이 시간은 누구보다 나를 치유하는 시간이 되었다. 엄마 떠난 빈자리에 서서 여성들의 글을 읽다 여성들과 함께 글을 썼다. 텅 빈 엄마의 자리가 꽉 채워진 것 같다. 아, 아니다. 엄마의 빈자리는 여전하다. 도대체 어디가 어떻게 채워진 거지? 가득 찬 상실, 따스하게 이어진 고립이다. 그 자리에서 '어머니 하나님'을 만났다. 아버지이며 동시에 어머니이신, 어머니이며 또한 아버지이신 하나님을 만난 덕에 기도 시간이 얼마나 포근해졌는지. 쓰고 말하는 여성들과의 연결 덕에 내 생애 가장 큰 여자인 엄마 떠난 자리에서 '하나님 어머니'를 만났으니 쉰둘, 2020년은 대박이다. 

 

글쓰기 모임 후기들이다. 읽어도 읽어도 좋다.  

 

평생 누구에게도 하지 못했던 이야기들을 글로 쓰고 풀어놓을 수 있었다. 누군가를 수용하고 용납해야 하는 입장에서 늘 살았다. 나도 수용 받고 싶고, 용납받고 싶다는 갈망이 있었다는 것을 깨달았다.
오늘호칭을 바꾸며 만난 하나님... 그간 만났던 하나님이 아니라 입체적으로 봤다고 해야 할까? 6주간 글쓰기 역시 그렇다. 나를 입체적으로 볼 수 있게 도와준 것 같다. 처음에 가졌던 글쓰기에 대한 부담감이 다 사라진 것만으로도 큰 수확이다.
끝이라는 게 아쉽다. 길을 걷는데 좋은 친구를 만났다는 느낌이다. 개인적으로는 글을 씀으로 비로소 내 것으로 만든다는 것, 신실 샘이 늘 말했던 글쓰기가 주체적 행동이라는 것에 대해 알아들어졌다.❞.❞
나도 몰랐던 내 상처와 교만으로 정신없이 살았다. 내 안을 박박 긁어오며 살아오다가, 너무 힘들 때 우연처럼 이곳을 만났다. 하나님은 뜻하신 대로 이곳에 불러주신 것 같다. 다른 분들의 글, 용기를 보며 같이 깊이 들어갈 수 있어서 좋았다. 마중물 같은 시간이었다.
이렇듯 깊게 털어놓은 게 처음이다. 6주 마치면서 나이스 한 끝을 만날 걸로 기대했다. 중년, 노년 가볍게 준비하겠지 싶었다. 오늘 마지막 시간 하나님 어머니에 대해 쓸 때 가슴에 통증이 왔다. 갑자기 부정적인 것들이 나와 마음이 무겁다. 내 안에 계신 하나님이 새롭게 뛰어넘어야 할 벽으로 느껴진다. 갑갑하다. 이 벽을 어떻게 허물까, 숙제를 안고 끝나는 것 같다.
너무 많이 울어서 쑥스럽다. 모임 마치고 나가면 눈과 코가 시뻘개서 딸들이 눈치를 본다. 이 시간에 너무 몰입되어 있었고, 전에 하지 못한 경험을 했다. 끝이 아니라 이제 시작하는 시간이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새로운 영역에 첫발을 디딘 것 같은 느낌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