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

거긴 날씨가 어때요? 여긴 엄마가 아는 그 날씨예요. 자주 흐려요. 가득한 미세먼지 때문인지 아니면 그냥 흐린 날인 건지 하늘이 늘 뿌예요. 봄이 오는 길목이 험난한 것 같네요. 엄마가 보낸 이 땅의 마지막 시간, 그때처럼 막막한 날씨의 연속이에요. 거긴 날씨가 좋죠? “햇빛보다 더 밝은 곳 내 집 있네어렸을 적에 많이 부른 노래 탓인가, 밝고 찬란한 날씨가 연일 계속되고 있으려니 싶어요. 날씨만 상상해도 좋아요. 엄마가 얼마나 싱싱하고 생생하고 행복할까 싶어요. 요며칠 내 마음은 비가 쏟아지기 일보 직전이에요. 누구든 툭 건드리기만 해라, 울어버릴 테니, 하는 심정으로 눈물을 장착하고 있는 것 같아요. 조금 전 엄마, 라고 부르는 순간 깨달았어요. , 엄마와 보낸 마지막 시간, 그 애달팠던 계절이 도래했구나! 코로나가 막 시작되던 때였죠. 기약 없는 시간, 예측 불가, 면회 불가의 시간이었어요. 엄마가 입원한 요양병원 건물 앞에 서서 올려다보던 창문, 그 너머 하늘이 마냥 흐렸던 기억이 또렷해요. 한 번, 두 번, 세 번. 엄마 없는 이 계절이 벌써 네 번째네요.

 

엄마 떠나고 바로 코로나를 서너 달 앓았던 느낌이에요. 자발적 자가 격리에, 칩거하며 글을 썼어요. 오직 쓰면서 슬픔을 견뎌냈던 것 같아요. 그 몇 달, 엄마 영혼도 미처 여길 떠나지 못하고 내 곁에 있었던 것은 아닌가, 그런 엉뚱한 생각을 해본 적도 있어요. 그리고 나는 죽은 엄마를 팔아서 또 책을 냈죠. 슬픔을 쓰는 일이라고 제목을 붙였어요. 슬픔을 쓰다니, 글로 쓸 수 있는 슬픔이 슬픔일까 싶었어요. 쓰면서도 수치스러웠는데 슬픔을 공부하는 슬픔이라는 신형철의 책도 있으니 슬픔은 그냥 그렇게 되는대로, 각자에게 익숙한 방법으로 쓰거나 공부하거나 그렇게 마주하는 것인가 봐요. 엄마 없는 하늘, 코로나바이러스 공포와 미세먼지로 가득한 하늘 아래에서 쓰기로 숨을 쉬었어요. 그리고 소중한 것을 배웠어요. 슬픔을 드러내면 누군가는 같이 울어준다는 것을요. 물론 위험한 일이었어요. 그만 잊어라, 장수하시고 좋은 곳 가셨는데 뭘 그리 유별나게 구느냐, 믿음의 사람이 천국을 소망해야지... 그런 소리가 이미 들리는 듯했고요. 슬픔 앞에서, 아니 모든 감정 앞에서 다들 어쩔 줄 모르는 것 같아요. 그래서 허둥지둥 내놓는 위로의 말이 많이들 어설퍼요. 어설픈 말은 아무 말이 되어 티슈같이 얇아진 슬픈 마음을 찢어내곤 하고요. 엄마, 그래도 내놓기 잘했어요. 상처투성이 알몸을 내보이는 것 같아 부끄러웠는데, 말없이 함께 벗어주는 이들이 있더라고요. 어설픈 말 대신 조용히 자기 흉터를 내보여주는 사람들이 있더라고요. 그 드문 공감과 연결에 힘을 얻었어요. 슬픔을 쓰고, 슬픔을 내놓고, 몰래 눈물 훔치던 손들을 맞잡고 보니 내놓길 잘했구나 싶어요. 그래서 엄마, 나는 엄마를 잃고 조금 다른 사람이 되었어요. 다른 사람까지는 아니더라도 엄마의 딸로서는 달라졌어요. 무엇보다 이렇게 새롭게 엄마를 만나고 있잖아요. 엄마도 이미 알고 있죠?

 

슬픔으로 슬픔을 공부했던신형철 교수는 사건은 그것을 감당해 낸 사람만 바꾼다.’라고 하더라고요. 사건 속에서 감당하고 겪어내야 하는 것은 다름 아닌 감정, 감정이었어요. 슬픔인 줄 알았는데 무기력이었고, 감정이 없는 것 같은 감정이기도, 때로는 분노, 어떤 때는 죄책감과 부끄러움이기도 했지요. 감정의 강이 흐르고 흘러 어떤 대사작용을 일으킨 것이 분명해요. 그해 부활주일 예배가 생각나요. 사상초유, 맞아요! 사상초유의 온라인 부활주일 예배였어요. 엄마 떠난 지 한 달여 지난 때였을 거예요. 노트북 앞에서 멍하니 앉아 예배를 시청하다 설교 후 부르는 찬송에 갑자기 걷잡을 수 없는 마음이 되었어요. ‘사셨네, 사셨네...’ 이 가사에 왜 그리 화가 치밀던지. 가만히 앉아 있을 수가 없었어요. 예수님의 부활이 나와 무슨 상관이 있단 말인가. 몸의 부활이라는 것이 가당키나 한 것이며, 누구를 위한 무엇을 위한 부활인가. 격한 감정을 어찌할 수 없어서 베란다로 주방으로 서성거렸던 거, 엄마 혹시 봤어요? 엄마의 몸이 견딜 수 없이 그리웠었어요. 엄마 목소리, 혈관이 툭툭 튀어나온 손등, 그리고 매끄러운 손바닥, 맨질맨질한 이마. 설령 천국에 가서 엄말 다시 만난다 해도 그 그리운 몸이 아닐 것이라는 상상 때문이었는지 부활은 고통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었어요. 그즈음 가장 듣기 싫은 말이 천국 소망이었던 거 알아요? 누구든 내 앞에서 천국, 소망... 이런 어설픈 위로를 들이밀기만 해봐라. 완전 무장을 하고 싸울 준비를 하고 있었어요. 그런데 내가 달라졌어요. 순순한 마음이 되었어요. 천국 소망까지는 아니어도 엄마가 있는 천국을 간절히 그리는 마음이 되었어요.

 

엄마가 떠난 때가 하필 사순시기였어요. 2주기 즈음이에요. 역시 사순기간이었어요. 산책길에 바흐의 칸타타 <Actus Tragicus>를 듣고 있었어요. 귀에는 장송 음악이 울리는데, 내 몸이 담겨 걷고 있는 길은 연한 새순이 돋아난 나무며 풀로 연둣빛의 새봄이 한창이었어요. 죽음의 노래와 폭발하는 봄의 생명력이라니, 부조화로구나 싶었는데, 어쩐지 그 부조화가 나쁘지 않은 거예요. 엄마 돌아가시던 그해 사순시기의 칩거를 생각하면 2년 만의 이 봄은 믿기지 않는 현실이죠. 다시는 생명의 기쁨 따위는 느낄 수 없을 것 같았었거든요. 사무치도록 그리운 엄마이지만, 상실감의 텅 빈 자리에 2년 전의 그 슬픔의 타나토스(tanatos)와는 다른 에로스(eros), 즉 생명의 기운이 일렁거렸어요. 귀에 울리는 칸타타의 합창 가사는 하나님의 때가 가장 좋은 때이니라(Gottes Zeit ist die allerbeste Zeit)”였죠. 엄마의 때가 얼마나 좋은 때였는지 생각했어요. 낯선 침상에 누워 외롭게 보낸 생의 마지막 시간, 혼자 내쉬었을 마지막 숨을 생각하면 어떻게도 떨쳐낼 수 없는 몸서리쳐지는 안타까움이에요. 사상초유의 팬데믹, 우리도 받아들일 수 없는 격리상황이었기에 엄마를 이해시키기는 어려운 일이었어요. 버려진 느낌은 아니었을까, 그 생각만 하면 심장이 조여드는 것 같았거든요. 그 봄, 그 길에서, 엄마의 때는 가장 좋은 때였겠구나, 싶은 거예요. 다 이해할 수는 없지만, 가장 좋을 때였다는 확신이 드는 거예요.

 

바흐의 생은 그 누구보다 죽음과 가까웠대요. 열두 살에 내가 아버지를 여의였던 것처럼. 바흐도 십 대 초반에 부모님을 잃었고, 사랑하는 첫 부인을 일찍 잃었고, 열두 명의 아이를 서너 살이 되기 전에 죽음으로 잃었다고 해요. 부모를, 아내를, 어린 자녀들을 죽음으로 잃고 잃었던 고통이 바흐 음악 곳곳에 흐르고 있어요. 바흐 음악의 아름다움은 여러 죽음과 상실의 얼굴이라니, 그 봄날처럼 찬란한 슬픔이에요. 죽을 운명을 타고난 인간, 그러나 슬픔과 분노에 매몰되지 않았던 바흐, 그의 음악이 나를 위로하고 만져요. 엄마 떠나고 바흐 음악의 더욱 가깝게 들려요. “하나님의 때가 가장 좋은 때이니라.” 만나고, 사랑하고, 기쁘고 행복한 시간이 하나님의 때인 것처럼, 헤어지고 슬프고 절망하고 실패하는 때도 하나님의 때예요. 이렇게 받아들이고자 하니 다시 눈물이 나요. 바흐는 얼마나 많은 눈물과 함께 곡을 만들었을까요. “평화롭고 기쁘게 나는 떠나네, 하나님이 뜻하신 대로 내 마음과 정신은 위로를 받았네, 부드럽고 고요히 하나님이 약속하신 대로 죽음은 나의 잠이 되었네.” <Actus Tragicus>의 마지막 아리아 가사예요. “이제는 말씀하신 대로 종을 평안히 놓아 주시는도다(2:29).” 성전에서 아기 예수님을 만난 시므온의 노래에서 영감을 받은 것이라니 이 무슨 아름다운 우연인가요? 시므온과 안나. 아기 예수님을 만난 두 늙은 예언자를 읽을 때마다 나는 엄마를 떠올려요. 과부가 되어 팔십사 세가 되도록 성전을 떠나지 않고 금식하며 기도하던 안나, 아기 예수님을 품에 안았던 안나는 꼭 엄마 같다고 생각했죠. “평화롭고 기쁘게 나는 떠나네, 죽음은 나의 잠이 되었네이것은 엄마의 노래예요.

 

엄마와의 이별 사건을 감당해낸 나는 이렇듯 다른 사람이 되었어요. 가끔 그 시절 일기장을 펼쳐보면 이 감정이 어디 갔지?’ 싶어요. 저항할 수 없는 감정의 강물에 휩쓸려 몸을 가눌 수 없었던 기억이 또렷한데, 여기저기 뒤져봐도 그때 그 감정은 없어요. 여전히 엄마 몸이 그립고, 그 손 다시 잡고 싶고, 당장이라도 전화 걸면 딸이여?”하는 소리가 들릴 것 같아 눈물이 차오르지만. 그때와는 달라요. 슬픔의 강물은 부활주일 찬송부르던 때처럼 어느 순간 분노의 물결이 되었어요. 그리고 어떤 때는 죄책감과 우울로 얼굴을 바꾸며 찾아왔고요. 지금은 그리움이에요. 또렷한 그리움이에요. 신기한 것은 그리움이 차오르는 순간, 엄마를 가장 가까이 느껴요. 엄마, 이제야 나는 하나님이신 예수님이 몸을 입고 인간이 된 이유를 알 듯해요. 아주 잠깐 인간의 몸으로 사시다 그 몸을 버리고 돌아가신 이유를요. 십자가 죽음과 부활, 그리고 승천으로 이 땅에서 다시 볼 수 없는 예수님의 몸이 되었어요. 그 보이지 않는 몸이 일하기 시작해요. 두려움과 호기로움 사이 좌충우돌했던 베드로의 인격이 변형되는 것을 봐요. 삼 년을 함께 먹고 자고 했던 선생님의 몸이 사라진 자리, 거기서 베드로는 비로소 예수님을 만나고, 그분의 못다 한 삶을 살아요. 이제 선생님의 부재는 현존의 다른 이름이에요.

 

상실의 텅 빈 공간에 슬픔, 분노, 죄책감, 수치심, 허무감이 밀려왔다 밀려가곤 해요. 엄마, 나 는 이제 알아요. 슬픔도 분노도 죄책감도 사랑의 다른 얼굴이라는 것을요. 베드로에게도 그랬을 거예요. 선생님을 지키겠노라 칼을 휘두르던 호기로움도, 나는 모르는 사람이라며 제자임을 부인했던 그 비겁함도, 닭 우는 소리에 나가 통곡하던 배신에의 죄책감도, 밤을 새워 텅 빈 그물을 끌어 올리던 그 무기력과 수치심조차도 선생님을 향한 사랑이었을 거예요. 그러니 엄마, 이제 묻고 싶어요. 물을 수 있어요. 실은 엄마의 안부는 그리 궁금하지 않아요. 4년의 세월을 지내며, 상실의 시간을 겪어내며 엄마의 영혼을 느껴요. 빛나는 영혼을 느껴요. 해처럼 빛나는 그곳에서 엄마 영혼이 그렇게 빛나고 있을 거예요. 엄마, 예원이, 예원이 말이에요. 예원이는 잘 지내고 있나요? 엄마 돌아가시고 사모님, 얼마나 마음이 아프세요?”라고 메시지 보내왔던 예원이가 한 달 남짓 지나고 천국으로 떠났어요. 떠난 엄마를 새롭게 만난 시간이 애도의 과정이라고 한다면, 예원이 애도 작업은 시작조차 하지 못했어요. 엄마를 끌어안고 슬픔의 강을, 분노의 강을, 죄책감의 강을 건너는 동안 예원이의 존재는 그저 잊고자 했어요. 죽은 예원이를 잊고자 하니 살았던 예원이도 생각할 수 없었어요. 그러자니 예원이 이후의 모든 젊은 죽음에 눈을 맞출 수 없었어요. 슬퍼할 자격, 분노할 자격조차 없는 것 같아 차마 뉴스를 볼 수도 없었어요. 예원이의 안부를 묻고 싶어요. 엄마, 예원이 만났죠? 호기심 가득한 그 큰 눈을 봤죠? 좋아하는 사람이 좋아하는 것을 기가 막히게 알아내고 기억하는, 그리고 훅 내미는 그 따스한 마음도요. 예원이가 검은 봉지에 홍옥을 사서 건넨 일이 있어요. 사모님이 홍옥 좋아하신다고. 홍옥은 엄마가 더 좋아하잖아요. 홍옥은 엄마 때문에 내가 좋아하는 사과가 된 거 거든요. 그런 아이예요. 이미 알죠? 천국에도 벌써 소문이 났을 거예요. 엄마, 예원이에게 내 안부도 전해줘요. 그리고, 그리고... 미안하다는 말도요. 지켜주지 못해서, 그렇게 절절한 긴급 구조 요청을 보내왔는데 지켜주지 못해서 미안하다고 전해줄 수 있어요?

 

엄마 떠나보내고 다른 내가 되었으니 저도 이제 용기를 내볼게요. 나를 그렇게 좋아하던 예원이였는데 내가 잘하지 못해서 그 생명을 놓친 것만 같아서, 누군가 네 책임이야!”라고 비난하는 소리가 들리는 것 같아서 피하고만 싶었어요. 하지만 이조차도 떠난 예원이를 향한 내 부족한 사랑이었어요. 죄책감도 수치심도 내 부족한 사랑이에요. 4월 기일에는 예원이를 기억하는 청년들과 함께 작은 추도예배를 드리고 싶어요. 몇몇 청년들이 예원이 상실의 아픔으로 힘들어하는 것을 알았지만, 그조차도 외면하고 싶었어요. 엄마, 이제라도 책임지는 어른이 되어 볼게요. 죽음을 막을 수는 없어요. 피조물의 한계, 인간의 한계, 저의 한계를 받아들인 자리에서 할 수 있는 것은 있어요. 죄책감, 미안함, 분노, 허무감으로 예원 언니 예원 누나를 만나고 있는 청년들과 얘기 나누고 싶어요. 그 모든 감정이 사랑의 다른 얼굴이라는 것을 함께 일깨워야겠어요. 드러낸 슬픔, 겪어낸 감정이 나를 여기까지 데려왔으니 이제 용기를 내볼게요. 죄책감을, 부끄러움을 드러내 볼게요.

 

엄마와 함께 예원이가 그립고, 예원이와 함께 오래전 천국으로 간 아름다운 청년 한솔이도 그리워요. 한솔이도 잘 지내죠? 엄마, 사무치는 그리움으로 천국을 그릴 때가 있어요. 그리움은 내 존재에 딱 달라붙어 이제 나의 일부가 되었어요. 그리운 얼굴들을 가까이 느끼는 방법은 그리운 얼굴을 그리워하는 길밖에 없어요. 윤동주 시인의 <별 헤는 밤> 한 구절이 자주 생각나요. “어머님, 그리고 당신은 멀리 북간도에 계십니다. 나는 무엇인지 그리워 이 많은 별빛이 내린 언덕 위에 내 이름자를 써보고 흙으로 덮어버리었습니다.” 엄마를 그리고, 엄마보다 한참 먼저 천국에 가신 아버지를 그리고, 예원이를 그리고, 한솔이를 그리고, 그리고, 그리고, 그리던 마음이 이제 모든 것을 그리는 마음이 되고 말아요. 그리움이 이끄는 길을 끝까지 가보면 거기엔 늘 나의 하나님이 계셔요. 일찍 돌아가신 아버지를 천국에 볼모로 잡고 계시는 하나님이었어요. 그 하나님께 잘 보이려고 안간힘을 쓰던 것이 나의 신앙이었는데. 어느 때부턴가 그 하나님이 아니에요. 그리운 모든 영혼들을 가장 빛난 모습으로 품고 계시는 것을 알겠어요. 떠난 모든 이를 향한 그리움은 그분을 향한 그리움에 닿아요. 엄마, 나는 하나님이 그리워요. 엄마의 얼굴을 그리며 천국을 그려요. ‘천국으로 가는 모든 길은 천국이고, 지옥으로 가는 모든 길은 지옥이라고 엄마를 닮은 중세 신비가 시에나의 카타리나(Santa Caterina da Siena 1347-1380)가 말씀하셨어요. 그리운 얼굴을 다시 만날 때까지 오늘 이 순간을 천국으로, 사랑으로 살도록 할게요. 곧 만나요. 엄마.


<복음과 상황> 4월호

 

 

그리움을 일깨우는 그리움 - 복음과상황

엄마,거긴 날씨가 어때요? 여긴 엄마가 아는 그 날씨예요. 자주 흐려요. 미세먼지 때문인지 아니면 그냥 흐린 건지 하늘이 늘 뿌예요. 봄이 오는 길목이 험난한 것 같네요. 엄마가 이 땅에서 보낸

www.goscon.co.kr

 

'기고글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향형 하나님? 내향형 하나님?  (2) 2024.05.01
나 E 아니라고오!  (0) 2024.03.01
끝나지 않은 이별  (1) 2023.12.31
치유하는 글쓰기(월간 기독교세계)  (2) 2022.04.01
아직 교회에 다니는 그녀  (0) 2021.07.0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