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제목 ‘슬픔을 쓰는 일’이 요 며칠 자꾸 '슬픔을 내놓는 일'로 읽힌다. 내놓는 일은 언제나 두렵다. 익숙해질 만도 한데, 여전히 그렇다. 출간은, 특히 내게 있어 책을 내는 일은 '사연 팔이'이다. 이것 자체가 어려운 것은 아니다. 모든 소설은 자전적 소설이며, 모든 글에는 어떤 방식으로든 쓴 사람의 사연이 스며들기 마련이니까. 이렇게 잘 알면서도 내놓는 일은 늘 새롭게 감수해야 하는 부끄러움이다.

내적 여정 세미나든 글쓰기나 꿈 작업에서든, 많이 내놓는 사람이 많이 성장한다. 그런 모임에서 내놓아야 할 것은 포장지로 싸고 싸고 또 싸매 뒀던 이야기들이다. 자랑스러운 것을 꽁꽁 싸매 둘 리 없다. 부끄러운 것들이다. 그런 것들은 내놓는 순간 취약해진다. 갑옷 안에 감춘 연한 살이라고 할까, 아니 상처 난 피부 같은 것이다. 말 한마디, 눈길 하나로 더 아파질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런 것을 감수하는 것이다. 용기 내어 감수하는 사람들이 치유와 성장을 경험한다. 무수히 확인하고 또 확인하는 것이다. 먼저 내놓고 많이 망가지는 사람이 상처 입은 치유자가 된다. 이것을 안다. 잘 안다. 안다고 쉬워지진 않는다. 알기에 다시 내놓지만, 빛나는 보상이 거저 주어지진 않는다. 부끄러움과 아픔을 다시 마주해야 하고, 모르는 발길에 차여야 할 것도 각오해야 한다.

안다고 쉬워지는 것은 아니지만, 알기에 가지 않을 수 없다. 내놓고 얻는 소중한 것을 알면서 내놓지 않을 방법이 없다. (주 안에 있는 보물을 나는 포기할 수 없네... 약할 때 강함 되시네...) 내놓지 않을 방법이 없으면서 부끄러움과 두려움을 피할 길도 없으니, 이렇듯 징징거리기라도 하려고. 오늘 종일 마지막 교정을 보려고 한다. 일단 펼치면 금방 할 텐데, 첫 페이지 펼치기가 이렇게 어렵다. 조금만 징징거리다가 여자답게, 힘차게, 냉정하게 펼쳐야지.

일단 서문 전체를 내놓는다. (페이스북에는 엊그제 서문 일부를 찔끔 내놓았다.)

<슬픔을 쓰는 일> 서문

쓰인 글
이 책은 쓴 것이 아니라 쓰인 글이다. ‘미친년 글쓰기’라는 원색적 표현이 딱 들어맞는다. 이제 와 이름을 붙이자니 ‘애도 일기’이지, 당시에는 슬퍼하거나 애도할 수 있는 상태가 아니었다. 그냥 어쩌다 글을 한 편 썼는데, 그러고 나니 숨통이 트이는 것이다. 쓰고 나면 읽을 힘이 생겼다. 애도에 관한 세상 모든 책을 읽을 기세로 읽었다. 아침에 눈을 뜨면 다시 숨을 쉬기 위해, 읽기 위해, 하루를 살기 위해 썼다. 이런 날들을 지내며 ‘미친 정신’이 제정신으로, 쓰이던 글이 쓰는 글이 된 것 같다. 그러니까 첫 글이 ‘쓰인’ 글이라면, 장례 후 육 개월 즈음에 쓴 마지막 글은 ‘쓴 글’이다. 탈상이다! 힘을 다해 마지막 문장을 쓰고 강한 의지로 마침표를 찍었다. 그러니 첫 글과 마지막 글 사이는 쓰인 글과 쓴 글의 그러데이션이라고 할 수 있겠다.

쓰인 글에서 쓴 글로 바뀌게 된 힘은 사람, 독자에게서 왔다. 나는 어떤 글이든 의식적으로 독자를 세우려 한다. 그렇게 할 때 그나마 읽을 만한 글이 된다. ‘쓰인’ 글에서는 독자를 상정할 수 없다. 그저 나 자신 쓰는 사람이며 동시에 읽는 사람이었다. 실은 그런 의식조차 없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오랜 습관대로 독자가 떠올랐다. ‘누군가’가 아니라 아홉 살에 엄마를 잃은 친구, 그리고 중학교 때 엄마를 떠나보낸 제자, 두 여성이 명확하게 내 안에 떠올랐다. 글을 써서 그나마 숨도 쉬고, 밥맛을 느끼게 되니 엄마 잃은 다른 이들은 어떻게 살아남았을까 싶었다. 이 나이에, 글로 애도할 힘이 있는 나도 이렇게 막막한데 친구는, 제자는 어떻게 견뎠을까. 어떻게 살아남았을까.

쓴 글
심리치료를 공부하고 아픈 사람들을 만나면서 알게 되었다. 오늘 겪는 대부분의 고통은 ‘애도하지 못한 언젠가’에서 기인한 것임을. 그때 충분히 울었어야 했는데 울음을 삼키고 슬픔을 막아버린 탓에 몸과 마음의 숨 쉴 구멍들이 하나둘 막혀버린 것이 오늘의 고통이라는 것을. 과연 재난 같은 슬픔 앞에서 온전히 자기 자신으로 머무를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나조차도 글을 쓰지 않았다면 과연 어떤 방법으로 애도의 터널을 빠져나올 수 있었을까. 어쩌다 내가 글로 숨을 쉬게 되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이 은총을 혼자 누릴 수는 없으니 엄마 잃은 누군가를 위해 어떻게든 끝까지 써보자는 마음이 생겼다. ‘쓰인’ 글이 ‘쓰는 글’로 온전히 탈바꿈하는 시점이었다. 아버지 없이 자란 아이의 마음, 엄마 잃은 딸의 마음을 내보여 같은 상실을 경험한 이들과 연결되고 싶어 졌다. 이제라도 내 글을 읽으며 뒤늦은 슬픔을 느끼고, 애도의 공간으로 들어갈 누군가를 상정하니 힘이 났다.

쓰게 한 글
내 슬픔을 누군가의 슬픔에 잇댈 수 있다는 것은, 이미 내 안에 숨 쉴 공간이 생겨났다는 증거다. 연결은 치유의 증거다. 나에게 글쓰기는 치유이자 연결이다. 일찍 아버지 없는 아이가 된 나를, 엄마마저 잃을까 봐 두려움에 볼모 잡힌 나를, 엄마를 잃고 따라 죽고 싶은 나를 오늘의 나, 생명을 사는 나와 이어주는 것이 글이다. 외로움과 자기연민으로 고립된 나와 아픈 이웃을 이어주는 길이다. 글이 내는 길, 글을 쓰다 열린 길이다. 출간이 결정되지 않았다면 하염없이 써야 했을 것이다. 탈고를 핑계 삼아 마지막 글 ‘탈상’을 썼다. 그리고 작정한 바는 없었는데 숙원인 글쓰기 모임을 열었다. 치유 공동체로 일구고 있는 연구소 프로그램으로 여성들의 글쓰기 모임을 시작했다. 뚜껑을 열고 보니 나를 위한 애도 작업의 연장이었다. 짧은 강의를 내어주고 투명한 글을 선물로 받았다. 각자의 ‘그때’ 충분히 울고, 충분히 분노하지 못한 기억을 글로 써서 낭독하며 숨 쉴 공간을 만드는 시간이었다. 물론 내게도. 특히 나에게 그러했다. 쓰인 글이 쓴 글이 되고, 이제는 ‘쓰게 한 글’이 길이 되고 있다. 글이 낸 길은 이렇듯 사람들로 가 닿는다. 글이 아니라 글을 읽어주는, 들어주는 사람이 치유인지 모른다.

날아든 글
원고를 다시 읽는 일이 고통스러웠다. 출간을 위해서는 피할 수 없는데, 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동원해 피하고 싶었다. 쓰던 그 순간과 비할 수 없는 감정이 밀려왔다. 하지만 끝까지 피할 수는 없는 일이니까. 더는 미룰 수 없었고, 어느 밤을 디데이로 잡았다. 그날 오후 우편물이 하나 도착했다. <사랑하는 사람이 죽은 후 내가 산다는 것은>이란 제목의 번역물이었다. 작업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는 친필 엽서와 함께였다. IVP 신현기 (당시) 대표님이 직접 번역하신 것이었다. 앞장에는 이런 문구가 인쇄되어 있었다. ‘이 번역본은 정신실 작가의 저술 참고용에 한하여 사용하도록 초역하여 제공한 것으로, 누구든 어떤 형태로든 전부 혹은 극히 일부라도 복사는 물론 열람할 수 없습니다’. 번역물을 펼치기 전 그 문구에 머물러 한참을 울었다. 공식 문안일 텐데, 공식적 문장에 이렇듯 위로받을 수 있다니. 그리고 그 밤, 그 글을 읽으며 제대로 치르지 못한 엄마의 장례식을 마저 치른 것 같다. 차마 읽지 못했던 내 글을 다시 읽고 탈상, 아니 탈고를 할 수 있었다. 쓰인 글도, 쓴 글도, 쓰게 한 글도 아닌 ‘어떤 글’로 말할 수 없는 위로를 받았다. 신현기 대표님께 그때 감정에 복받쳐 차마 전하지 못한 감사의 말씀을 뒤늦게 전한다. 편집자 심혜인 간사님 아니었으면 블로그 한 카테고리를 벗어나지 못할 글이었다. 따뜻한 독자로, 날카로운 편집자로 들어주고 다듬어주고 함께 해주셔서 여기까지 올 수 있었다. 출간 과정 자체가 애도 작업의 연장이었는데, 두 분과 IVP 출판사에 깊이 감사드린다.

슬픔의 늪에서 헤어나오지 못하는 내 곁에서 ‘오늘이 선물’이라고 한결같이 노래해 준 남편 김종필과 채윤 현승에게 사랑과 고마움을 전한다. 아기가 된 엄마를 마지막까지 돌보고 보살폈던 올케 이선영에게 특별한 감사와 미안함을, 매일 할머니를 걱정시키고 웃게 했던 조카들 수현, 우현, 세현이에게 사랑을 전한다. 그리고 내 동생 정운형. 나와 똑같은 아버지 상실, 엄마 상실을 겪었지만 나보다 강한 사람으로 서서 든든한 뒷배가 되어준 동생이 없었으면 어쩔 뻔했나. 인생의 동지이며 믿음직한 글벗이기도 한 운형아, 고맙다. 마흔다섯 늦은 나이에 나를 낳고, 그리고 또 동생을 낳아준 엄마가 가장 고마운 것 같기도 하고.

김영봉 목사님의 <사랑하는 사람은 누구나 아프다>을 비롯한 여러 저서, 박정은 수녀님의 <슬픔을 위한 시간>, 박미라 선생님의 <치유하는 글쓰기>. 일찍이 책으로 만난 좋은 선생님 덕에 애도와 글쓰기에 대해 예습을 할 수 있었다. 세 분 추천사에 미치지 못하는 글의 무게가 부끄럽지만, 그래서 더욱 큰 위로가 된다. 세 분 선생님께 머리 숙여 감사드린다.

세 분의 글이 나를 준비시켰듯, 나의 글이 어느 독자에게 닿아 온전히 슬퍼하고 다시 살아 살아낼 힘을 드릴 수 있으면 좋겠다. 부모를 잃은 사람, 언젠가 부모를 잃은 사람에게 가닿았으면 좋겠다.


'낳은 책, 나온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感謝, 感思  (4) 2021.07.11
아무 누군가에게 읽히길  (0) 2021.06.28
표지가 넷  (5) 2021.06.01
<신앙 사춘기>의 이면  (3) 2020.10.23
찌르든 싸매든  (0) 2019.08.1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