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더위도 잊을 정도로 심취해서 읽고 있는 책이 있다.

정혜신 이라는 정신과 의사가 쓴 '사람 vs사람' 이라는 책이다.

이 책의 첫 장에는 이명박과 박찬욱 얘기가 '백미러 없는 불도저의 자신감  vs 상향등 없는 크레인의 자존감'이라는 부제로 붙어서 나온다.


이 첫 장을 읽으면서 나는 나의 남편 김종필이 박찬욱과 닮았다는 생각을 했다.


박찬욱이 <올드 보이>로 칸 영화제에서 상을 받는 자리에서 했다는 말이 저자는 '소박하다 못해 의아한 수준'이라고 했다. '로만 폴란스키 같은 거장을 직접 만나 악수를 하고 사진을 찍은 것만 해도 충분히 영광이었다' 며 '위대한 감독들이 경쟁 부문 후보에 많이 올라이렇게 큰 상을 받으리라고는 꿈에도 생각하지 못했다'고 기쁨을 나타냈단다.


그러면서 저자는 박찬욱의 이 발언에 대해서 'low self-esteem'에 가깝다고 평을 했다.  'low self-esteem' 즉 '낮은 자존감' 대학원 공부할 때 얼마나 많이 들어본 말인가? 정신과든 특수아동 분야든 '낮은 자존감'은 음악치료의 목적영역 중 빼놓을 수 없는 치료 목적이다.


남편에게 '당신하고 박찬욱이 닮은 데가 있어' 했더니 허허허 웃으면서 스스로도 그렇게 생각했다며 중학교 때 경험을 하나 얘기해 주었다. 중학교 때 전교 회장을 뽑는 자리에 후보로 올랐단다. 말하자면 정견발표 같은 걸 하는 자리에서,

'나는 이 자리에 선 것 만으로도 영광입니다' 라고 했단다.

박찬욱이 서 있던 자리와 비교도 할 수 없을 지 모르겠지만 어쨌든 두 사람의 반응이 어쩜 이리도 비슷한가? 그렇다. 나도 가끔 남편을  'low self-esteem' 쪽으로 추측해 본 적이 있다.


김종필씨는 도대체 자신에 대해서 떠벌일 줄을 모른다. 나는 내가 운동신경이 지독하게 무디기도 하거니와 때문에 신나게 운동하는 사람들이 너무 너무 부러워서 남자들의 운동에 관심이 많다. 운동을 잘 하는 남자인가? 아닌가?는 내가 남자들을 볼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이다.

그런 남자들이 있다. '농구하면 나지. 족구? 내가 잘 하지. 내가 축구 좀 해'하면서 무슨 운동이든 다 잘 한다고 떠벌이는 사람들 말이다. 막상 경기하는 걸 보면 그저 뭐 중간 정도랄까? 잘 봐줘서 중상 정도? 그런 사람이 그렇게 심하게 떠벌이는 것이다.

그런가 하면 내 보기에 김종필씨는 못하는 운동이 없다.(최근에 하고 있는 축구는 확실히 썩 잘하지는 못하는 것 같다. 그렇다 해도 심심치 않게 골을 터뜨리니 아주 못한다 할 수는 없는 것 같다) 족구, 탁구, 농구, 배드민턴....

내가 눈으로 확인한 건 그 정도다. 사람들이 김종필씨를 보면서 '운동을 디~게 못하는 줄 안다' 몸도 기다랗기만 한데다가 잘 내색도 안 하니 그렇게 생각하는 게 당연하다. 그런 평을 들으면 내가 오히려 흥분이 된다. 남편보다 운동을 못하는 사람들이 그 앞에서 한 수 가르치고 잘난 척을 해도 김종필 자신은 별다른 내색이 없다.


운동 뿐이 아니다. 기타도 한 기타 치고, 찬양 인도도 한 인도 하고, 예전에는 노래 자작곡도 잘 했고, 그만하면 글도 좀 쓰고.....


객관적으로 얼마나 잘 하는지는 나도 알 수 없다. 그저 내가 답답하게 느끼는 것은 김종필씨 자신이 생각하는 것보다는 훨 낫다는것이다. 김종필씨에게 있어서 자신은 언제나 '부족한 나'다. 그래서 자랑을 못하는 것 같다. 늘 자기 자신의 기준에 못 미치니까 말이다.


교회에서 이런 저런 이유로 우리보다 연배가 높은 분들과 함께하는 자리가 가끔 있다. 이런 자리에서 남편을 거의 말을 하지 않는다. 뭐 또래 모임에서도 말이 많은 것은 아니지만 암튼 더 현저하게 말 수가 주는 것이 사실이다. 논의 되는 주제에 대한 생각이 없는 것도 아니면서 그저 듣기만 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유는 그것이다. 나이도 어린 자신이 섣불리 말하는데 끼어들 수가 없다는 것이다. 특히나 자신을 드러내거나 자신의 좋은 점이 드러나는 얘기는 아예 꺼내지도 않는 것 같다.


다시 책으로 돌아가서 저자가 박찬욱에 대해서 하는 말을 보면,

박찬욱은 휘몰아치거나 내세우지 않는다. 스스로가 쑥스러워서 그렇게 못한다. '외면의 자기'가 인정받는 것에 비해 '내면의 자기'를 낮게 평가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것은 겸손과는 조금 다른 얘기다. 일반적인 사람의 평균치보가 더 'low self-esteem' 쪽이다. 하지만 그런 이들은 제3자에게 '안전하다'는 느낌을 준다. 스스로 잘 통제하고 있는 사람을 볼 때의 안정감, 자신이 서 있을 지점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는 사람에 대한 신뢰감이다.


병리적인 수준의 'low self-esteem'이 아니라면 미덕이 있다는 것이다. 그런 것 같기도 하다. 나를 포함한 대부분의 사람들이 아주 적절한 자신감을 가지기가 쉽지 않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 넘치거나 모자른 수준의 자신감을 가진 사람이 대부분이라면 모자른 자신감이 어쩌면 더 나을 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