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과 신앙에 대한 고민이 사뭇 진지해져 풋내기 구도자가 되어가던 여고생 시절이었다. 어쩌다 손에 든 루이제 린저의 <고독한 당신을 위하여>라는 책에서 읽은 구절이 한 장의 사진처럼 마음에 남았다. 수녀 두 분이 기차 안 맞은편 자리에 앉은 한 여자를 보고는 못마땅한 표정을 감추지 못하더라는 이야기이다. 여자는 화려한 복장과 진한 화장을 하고 있었는데 마주앉은 수녀님들과는 다른 차림새였다. 그 여자의 외모와 두 수녀의 눈빛을 길게 구체적으로 묘사해놓았던 것 같다. 그리고 사랑에 대한 심플한 정의를 내렸다. 사랑은 나와 다른 사람들을 따스한 눈으로 바라보는 것이라고. 이제 막 신앙의 눈을 뜨기 시작한 여고생은 이것을 마음에 깊이 새겼다. 낯선 여자를 향한 두 수녀의 공격적 시선이 클로즈업 되고 그 위로 ‘사랑이란?’ 하는 자막이 올라오며 화면이 정지된다. 이 화면 그대로 액자가 되어 내 의식의 한 벽면에 걸려있다.
오래 된 숙제
이것은 내게 막 베어 문 선악과 한 입이 되었다. 그로부터 눈이 밝아져서 ‘내 안의 수녀님 시선’을 알아채게 된 것이다. 그 시선은 사랑에 반하는 것이라 하니 당장 떼어내고 싶었지만 안경을 벗듯 휙 벗을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내 안의 수녀님 눈빛 제거하기’는 신앙 여정에 가장 부담이 되는 숙제가 되었다. 여고생 때 받은 숙제를 중년이 된 지금까지 붙들고 있음에도 딱히 큰 진전이 없다. 가까이 지내는 사람들에게는 차마 내보이지 못하고 ‘온유함의 선글라스’ 같은 걸로 위장하는 기술만 늘었다. 한 번 보고 말 사람에게는 여과 없이 비아냥과 경멸의 시선을 쏘고 지나친다. 그런 나를 의식하는 순간 느끼는 고통은 매우 크다. 그 시선은 다름 아닌 나와 다른 모든 것을 향한 비판 또는 비난의 태도이다. 그리하여 비판이라는 말은 언제 어디서 맞닥뜨려도 그냥 지나칠 수 없으며, 내게 죄책감을 안겨준다. 그러나 나는 또 한편으로 비판의 화살을 맞고 상처받을지 모른다는 잠정적 피해자로서의 두려움에 떨기도 한다. 이렇듯 내 안에 충만한 ‘비판주의’는 오랜 시간 학습한 과제이지만, 안팎으로 오가면서 복잡하게 얽혀버려 도무지 풀리지 않는 문제이다.
비판의 기술, or 예술
이런 내가 <비판의 기술>이라는 제목을 보고 그냥 지나칠 수 있겠는가. 일단 카트에 담고 볼 일이다. 물론 ‘기술’이란 말이 목에 걸려 잠시 주춤하긴 했다. 한때 ‘논쟁에서 이기는 법’ 류의 책에 목을 매던 적이 있었다. 예의 그 ‘수녀님 시선’을 벗어나보자는 노력이었지만 별 소득은 없었다. 내가 쏟아내는 비판에 대해서, 고도의 기술을 가지고 논리적 근거를 만들어 낸다고 해서 수녀님 시선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것이 아니었다. (물론 고도의 세련된 기술을 제대로 익혀보지도 못했다.) 그러므로 비판을 잘 하는 기술이라면 더 배우고 싶지도 않다. 아니, 그런 것이 있다고 믿지도 않는다. 대화의 기술, 용서의 기술, 비판의 기술..... 사람과 사람이 부대끼며 살아가는 그 지난한 일에 따라붙은 기술이란 말은 ‘빠르게 달리는 달팽이’라는 말처럼 결코 어울리지 않는다. 이런 편치 않은 마음으로 책을 살피던 중 원제에 눈이 꽂혔다.
“Making Judgments Without Being Judgmental”
그렇지! 딱 좋네. 그러고 나니 책 표지의 부제, ‘정죄를 벗어나 분별에 이르는 길’이 눈에 들어온다. 책을 펼쳐 몇 페이지 읽어나가니 ‘기술’ 때문에 가졌던 부정적 혐의는 금세 사라졌다.
“비판주의를 효과적으로 다루는 첫 번째 단계는 비판주의가 얼마나 미묘한 문제인지 분명하게 깨닫는 것이다. 우리가 덜 비판적일 수 있을지는 몰라도, 전혀 비판하지 않는 사람이 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비판주의라는 주제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먼저 우리 모두가 비판적인 사람이라는 전제에서 출발해야 한다.(p24)”
수녀님 눈빛 치유하기
책의 미덕은 끝까지 이 전제에 충실하게 풀어간다는 것이다. 미묘한 비판주의를 신중하게 다루고 누구도 자유로울 수 없는 비판주의에 겸허하게 접근한다. 그러면서 비판주의의 그늘에 숨어 있는 것들을-차이를 견디지 못하는 불안과 두려움, 자신의 존재 자체를 죄스럽게 느끼는 수치심, 나르시시즘- 하나하나 드러내 보여준다. 나는 책을 읽는 내내 비판주의의 원고석에서 피고석으로 왔다리 갔다리 하며 좌불안석이었다. 진실로 비판주의로부터 자유롭기 원한다면 감수해야할 불편함일 것이다. 내 안의 ‘수녀님 눈빛’ 치유하기는 참된 빛을 마주하기 위해서 선글라스를 벗는 것부터 시작될 것이다. 그러자면 강렬한 태양빛으로 인한 아픔과, 암흑의 고통을 견뎌야 할 것이다. 이것은 비판주의의 그늘에 있는 부정적인 것들과 권위적이고 경직된 태도가 모두 내 것임을 머리 아닌 가슴으로 인정해야 하는 고통이다. 그러자니 정죄를 벗어나 분별에 이르는 길은 한두 가지 기술을 익힌다고 해서 도달하는 것이 아니었다. 그 여정은 내 은밀한 내면을 깊이 성찰하며 나의 중심에 거하시는 그분께로 머리를 조아리고 무릎을 꿇는 길이었다.
1분 1초가 멀다하고 접속하여 마음을 뺏기는 SNS로 대변되는 우리의 일상은 크고 작은 비판의 향연 같다. 선한 가치를 위한 꼭 필요한 비판, 예의바른 언어에 포장된 독기 가득한 비판, 혼잣말 같으나 누군가 들으라는 비아냥조의 비판. 이 모든 비판에서 주어이기도 목적어이기도 한 우리에게 한 발 물러나 독을 빼는 시간이 꼭 필요한 것 같다. 그럴 때 좋은 안내가 되어줄 책이 <비판의 기술>이다. 물론 다시 한 번 말하지만 비판 기술자를 만들어주는 비법은 없다.
IVP 북뉴스 2013 11-12월 호
'인간의 얼굴을 가진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혼을 세우는 관계의 공동체 (4) | 2014.01.13 |
---|---|
래리 크랩, 여기는 안전합니다 (4) | 2013.11.24 |
몸에 밴 어린시절 (10) | 2013.11.14 |
소명을 찾아 안으로, 그리고 아래로 (0) | 2013.09.30 |
니 연애의 모든 것 (8) | 2013.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