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날 아침부터 몸이 좋지 않으니 이때다! 싶어 온종일 죄책감 없이 침대에서 뒹굴었다. 읽다 자다 읽다 자다 아니 에르노의 《부끄러움》을 다 읽었다. 분량으로 치면 두어 시간이면 끝나겠지만, 양으로 가늠되는 책이 아니다. 제목과 표지, 작가 정보 때문에 벌써 사놓고 펼쳐보질 못했다. 교회 여성모임에서 여행 가시는 집사님께 마음을 딸려 보내고 싶어서 사놓고 펼쳐보지 못한 책을 드렸다. 그리고 바로 다시 주문했다. 같은 책을 읽으며 연결되고 싶은 마음에... 
 
"6월 어느 일요일 정오가 지났을 무렵, 아버지는 어머니를 죽이려고 했다." 첫 문장이 이러니 읽어나갈 엄두가 났겠는가.
 
조금 아픈 몸으로 읽다 쉬다 하며 하루를 몽땅 들이는 방식으로 읽기를 잘했다. 나이가 들어 생애 마지막 작품으로 소설을 써보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다. 소설이어야 하는 이유는 상상력을 발휘하여 새로운 이야기를 창작하고 싶어서가 아니다. 사실을 쓰고 싶어서이다. 내가 경험한 일들을 낱낱이 쓰고 싶은데, 그 낱낱의 사실들이 사실이 아닌 척, 특히 내가 경험한 사실이 아닌 척하고 싶어서이다. 《부끄러움》을 읽으며, 아니 에르노의 글쓰기 철학에 적잖이 충격을 받았다. 그러니까 글쓰기에 관하여 (언감생심 이루지도 못할) 내 생각과 정반대의 길을 가고 있으니 말이다.
 
책을 한 권 내놓을 때마다 부끄럽다, 부끄럽다 징징거리는 나는 부끄러움으로 부끄러움을 피하는 사람이었다. 아니 에르노의 《부끄러움》을 읽다 보니 아, 부끄러움은 관념이 아닐뿐더러 형용 가능한 감정도 아니지 않은가 싶다. '은유나 상징을 배제한, 밋밋한 글쓰기'로 '아버지가 어머니를 죽이려 했던' 그 해의 기억을 묘사하는 덤덤한 글을 따라가다 내 어떤 기억의 장면들이 자꾸 떠올랐다. 부끄러움은 '장면', 이미지이다. 덧붙여지는 심리분석이 아니다. 

 

책이 나온 뒤에는 다시는 책에 대해 말도 꺼낼 수 없고 타인의 시선이 견딜 수 없게 되는 그런 책, 나는 항상 그런 책을 쓰고 싶다는 욕망을 갖고 있었다. 하지만 열두 살에 느꼈던 부끄러움의 발치에라도 따라가려면 어떤 책을 써야 할까?

 
책의 마지막 몇 단락을 여러 번 읽었다. 두고두고 읽고 또 읽을 생각이다. 책이 나온 뒤에 책에 대해 말도 꺼낼 수 없고, 타인의 시선이 견딜 수 없게 되는 그런 책을 쓰겠다는... 사실? 아니 진실을 향한 갈망과 용기라니! 책을 읽으며 떠올랐던 내 기억의 장면들을 나는 쓸 수 있을까? 은유, 상징, 심리분석을 배제하고 담담하게 기술할 수 있을까?   
 

1996년의 여름이 끝났다. 이 책을 구상하기 시작했을 무렵 사라예보의 시장 바닥에 박격포탄이 떨어져 수십 명이 죽고 수백 명이 부상당했다. 몇몇 작가들이 "부끄러움에 목이 멘다"라고 신문에 썼다. 그들에게 부끄러움이란 하루아침에 생겼다가 그다음 날이면 떨쳐버릴 수 있고 어떤 상황에는(보스니아 내전) 적용되지만 다른 상황에는(르완다 내전) 그렇지 않을 수 있는 개념이었다. 사라예보 시장의 피바다를 기억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부끄러움에 목이 멘다" 같은 표현을 나는 얼마나 자주 내뱉었던가. 내가 말하던 부끄러움이 현학적이었다고까지 느껴진다. 강의와 집단 여정 중에 '수치심'이란 말을 얼마나 자주 입에 올리는지. 인간 마음 맨바닥에 있는 감정이 수치심이며, 영성적 치유는 수치심의 치유라는 설명을 입에 달고 있는데. 내 말의 무게가 가볍게 느껴진다. 이 부분을 해설한 작품 설명을 그대로 옮겨봐야겠다. "그녀에 따르면 그 작가들이 이야기하는 부끄러움이란 하루아침에 생겨났다가 그다음 날이면 떨쳐버릴 수도 있고, 어떤 상황, 즉 보스니아 내전에는 적용되고 다른 상황, 예컨대 르완다 내전에서는 그렇지 않을 수 있는 개념인 반면, 자신의 그것은 그렇게 하루아침에 사라질 수도 없거니와 각기 다른 상황 속에서 상대적으로 적용되는 개념도 아니다. 그것은 오로지 자신에게만 적용되고 그럼으로써 영원하게 살아 있는 실체와 같다."

 

이 책을 쓰고 있었던 지난 몇 달 동안 어떤 영화가 개봉했든 어떤 책이 발간됐든, 혹은 어떤 예술가가 죽었든 그것이 1952년에 일어난 사건이면 대뜸 신경이 곤두섰다. 그런 일들이 까마득히 먼 그해의 현실, 어린아이였던 내 존재의 실체를 증명하는 것처럼 여겨졌다. 1952년 일본에서 출간된 오오카 쇼헤이의 《불》이란 책에서 나는 이런 글귀를 읽었다. "이 모든 게 어쩌면 환상에 불과할 수도 있지만, 내가 그렇게 느꼈다는 것만은 의심할 수 없다. 회상도 하나의 체험이다."

 
누구에게도 말할 수 없을 것 같은, 말하기 싫은 기억의 장면들이 있다. 그 장면이 부끄러움이고, 부끄러움이란 내 기억 속의 장면들인데... 의심할 수 없는 바는 이것이다. 내가 그렇게 느꼈다는 것. 
 
이로써 나는 아니 에르노의 세계로 발을 들여놓게 되었다. 알라딘 보관함 한 페이지가 아니 에르노로 꽉 찼다.

'인간의 얼굴을 가진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소한 절망  (2) 2022.11.16
래리 선생님의 유언  (1) 2022.08.25
편견과 오만  (3) 2022.08.21
이 문장 만나려고  (0) 2022.05.01
결핍의 노란 길  (0) 2022.03.0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