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승이가 고등학교 진학과 일 년 안식년 갖는 것을 두고 했던 고민이 생각난다. 성적으로 줄 세우고, 모두 한 곳을 목적하고 달리게 하는 학교의 시계를 잠깐 멈추자는 뜻이었다. 취지도 좋고, 누나의 경험을 봐도 좋은 것 같고, 무엇보다 일 년짜리 방학을 얻는다니, 이보다 좋을 수 없는 일이었다. 현승이의 고민은 '회피'가 아닌가 하는 것이었다. 공부도 싫고 경쟁도 싫고, 무엇보다 경쟁에서 이길 자신도 없으니 물러나는 것은 아닌가 싶었던 것이다.
 
세상으로부터 물러나는 사람들, 은수자들, 로마를 떠나 수비아꼬 동굴로 들어간 베네딕토 성인이 어린 현승이 말에 빗대어졌다. 열여섯 현승이의 제 수준에서 고민은 그렇지만, 가던 길을 돌이켜 돌아가거나 남과 다른 길을 선택하는 이들의 고뇌가 있을 것이다. 드디어 박해시대가 끝나고 자유롭게 예수님 따르는 삶을 살 수 있게 된 때 자발적으로 사막을 향해 들어간 교부 교모들, 수도원으로 들어가거나 더 깊은 은수처로 들어가는 이들은 어떤 고뇌의 시간을 통과했을까. 순례단의 연세 높으신 어르신 한 분이 계신다. 따님이 수녀님이 되셨다고 한다. 대학, 대학원 다 마치고 어느 날 갑자기 "엄마 할 말이 있어"하고 방으로 부르더니 다짜고짜 수녀원에 가겠다 하셨다고. 순간 벽에 기대었던 몸이 스르르 바닥으로 주저앉았다고.
 
수비아꼬 수도원은 로마를 떠난 베네딕토 성인이 3년간 은수생활을 했던 동굴을 보호하기 위해 세워진 수도원이다. 지금은 "거룩한 동굴"이라는 뜻의 사끄로 스베꼬(Sacro Speco)로 불리는데, 가파른 절벽 가운데 있어서 사람이 접근하기 힘든 동굴이었다.  동굴이 딸린 절벽에 세워진 수도원인데, 어떻게 이런 건축이 가능했을까 싶다. 동굴생활을 시작하기 전 로마누스(Romanus)라는 수도자를 만났는데, 3년간 유일하게 접촉한 사람이다. 그 접촉이라 바구니에 줄을 달아 빵을 내려주는 정도였다. 그런 고독 속에서 기도로 지낸 3년이라니. 

 

깊은 기도로 하나님께 가는 사람에게 유혹과 시련이 없을 수 없다. 로마가 아니라 은수처에서도 하나님을 향해 가는 길은 가시밭길이다. 기도를 방해하기 위해서 악마의 방해공작이 있었다고 하는데, 빵이 왔음을 알리는 방울을 깨트리거나, '여인의 모습을 떠오르게 하여 육적인 정욕'을 일으켰다고도 한다. 주어를 악마로 표현하면 그렇지만, 홀로 물러나 기도하는 사람에게 기본적인 욕구로 인한 어려움은 너무나 당연한 시련 아닌가. 은수처로 들어갔다고 했서 당장 식욕이, 성욕이 사라지는 것은 아닐 테니 말이다. 하늘에서 뚝 떨어진 하나님 체험이 아니라 지극히 인간적인 욕구를 붙들고 씨름하는 3년의 시간이었음을 알 수 있다. 수도원 안쪽 정원에 장미가 심겨 있다. 성인이 성적인 욕구를 물리치기 위해 가시밭에 몸을 뒹굴었다고 한다. 그 일화를 담은 상징으로 가시 달리 장미가 거기 있었다. 

 
은수생활은 결코 고요하지 않았을 것이다. 가시밭에 뒹구는 몸과 영혼으로 치열한 시간 속에서 만난 하나님이었을 것이다. '자발적 물러남'은 고통을 회피하는 것이 아니라 더 큰 고통을 향해 걸어들어가는 걸음이다. 연구소에서 함께 향심기도를 하고 있다. 20분 멈추고 기도하는 일이 그렇게 어렵다는 것을 하면서 안다. 해보면 안다. 자발적으로 물러나 만나는 것은 '욕구 그 자체인 나'이고 거룩하지도, 대단하지도 않은 나와의 대면이다. 그런 나를 가지고 하나님을 만나야 하니 어떻게 사투가 되지 않을 수 있겠는가.
 

수비아꼬 수도원에서는 두 번 머무르는 기회가 있었다. 첫날은 (이날따라 유난히 많았다는) 순례객에 떠밀려 그저 공간에 몸을 담갔다 나왔다. 심지어 동굴을 제대로 들여다보지도 못했다. 수도원 호텔에서 일박을 하고 이른 아침 산책 나갔던 남편이 수도원에 올라갔다가 아무도 없이 홀로인 수도원을 누리고 왔다고 했다. 아, 아깝다! 글을 포기할걸! 한 번의 기회가 더 왔다. 가톨릭 신자들은 매일 미사를 드린다. 순례 중에도 매일 미사가 있다. 아침 9시, 수비아꼬 수도원 한 공간에서 미사가 있는데 어쩐지 들어가고 싶지가 않았다. 양해를 구하고 밖에서 기도하기로 했는데, 덕분에 나도 아무도 없는 동굴을, 수도원 이곳저곳을 누리며 기도할 수 있었다. 성인의 '자발적 물러남'에 대해 마음으로 물어보았다. 어떻게 그렇게 세상으로부터 물러나 기도할 수 있었는지, 물러나는 마음은 무엇이었는지. '자발적'인 힘은 분명 영혼으로부터 오는 것일 텐데 그의 영혼은 어떤 영혼일까. 내 영혼은 지금 어디를 어떻게 헤매고 있는 것일까.
 



자연의 동굴 그대로 두었더라면 내게는 더 좋았을 텐데, 그럴 리가 없다. 대리석 상이며 이것 저것으로 꾸며진 동굴이 나는 왠지 조금 슬프더라. 은수자로 물러나 사신 곳에 사람들이 몰려들어 떠들고 있으니 뭔가 제대로 존중해 드리지 못하는 것 같기도 하고. 무엇보다 발에 씌워진 강철 보호대는... 사람들이 하도 만져서 돌이 닳았기에 보호대를 씌운 것이다. 실제 성인의 몸이 아니지만, 보고 만지며 기도하려는 가톨릭 신자들의 성지순례 신심을 이해한다. 붙들고 사진 찍기 위해서가 아니라 붙들고 기도하는 모습에 감동을 받기도 한다. 하지만, 저 까만 보호대가 성인의 뜻과는 다를 텐데, 싶으니 서글퍼지는 것이다. 
 
나도 무슨 짓을 했다. 수도원을 배경으로 <수도 규칙> 책 사진을 찍으려 들고 올라갔는데, 동굴 안의 성인 상 무릎에 두어 보았다. 감사의 표현이었다. 기도하고, 써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기도하며 쓰는 사람으로 평생 살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당신 자신이 되어 하나님 사랑을 꽃피우고 떠나 주셔서. 

 

혼자 나와 남편을 기다리는 중, 수사님 한 분이 걸으며 기도하는 모습을 보았다. 왔다갔다 기도하는 그분을 위해 나도 기도했다. 자발적인 물러남을 사는 이 시대 수도자들을 위해서 기도했다. 자발적으로 물러나 평생 기도하는 삶을 사는 그분들이 있어서 그나마 우리가 이 정도의 평화를 누리고 있는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