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로맨틱하고, 달콤하고, 섹시하고도 슬픈 판타지라는 평이 이어지는 영화 <셰이프 오브 워터 : 사랑의 모양>이다. 제목과 여러 리뷰들이 말하는 것처럼 사랑 영화인가? 부인할 수 없다. 제목과 제목에 관해 밝힌 감독의 말이 이러하니.


“물은 담는 그릇에 따라 모양이 변한다. 부드럽지만 우주에서 가장 강하고 가변성 있는 힘이기도 하다. 사랑 또한 그렇지 않은가? 여성이나 남성, 기타 생명체 등 사랑을 어떤 모양에 집어넣건, 사랑은 바로 그것의 모양이 된다”


나는 어쩐지 괴물을 사랑하게 되고, 괴생물체의 아름다움에 경탄하고, 괴물과 사랑에 빠진 동료와 친구 곁에 서는 사람들을 주목하게 된다. 몹쓸 병인 줄 알면서 나는 또 편을 갈라 바라보게 된다. 괴물을 있는 그대로의 존재로 보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 그리고 역시나 치명적인 병인데, 그들을 줄 세우고자 한다. 물론 일렬로 세운 왼쪽 끝에 엘라이저 역의 셀리 호킨스가 있고, 그 옆에는 청소부 친구 젤다, 자일스가 선다. 오른쪽 끝에는 말할 것도 없이 스트릭랜드 역의 마이클 세넌이다. 백인가부장시스템의 대리자이다. 무슨 근거에 의한 줄 세움인가? 인간다움의 등급이라 하겠다.


우리가 아무것도 안 한다면 우리도 인간이 아니에요.


해부되기 전에, 죽임당하기 전에 괴물을 연구소에서 탈출시켜야 한다는 엘라이저의 절박한, 소리 없는 절규이다. 옆집 친구 자일스에게 도움을 구하며 하는 말(말보다 더 강렬한 몸의 소리)였다. 엘라이저의 계획이 무모하단 것은 관객인 나도 인정한다. 하지만 인간이고 싶은 나는 동의한다. 격하게 동의한다. 그렇게 규합된 탈출단은 여자, 청소부, 흑인, 게이. 백인가부장 시스템에서 배제와 혐오의 대상이다. "당신들은 청소만 하면 되는 거야!" 소리를 듣는 인간 대접받지 못하는 이들이 가장 인간다운 인간들이었다.  


아침에 목욕하며 자위를 하는 엘라이저, 괴생물체와의 섹스는 사랑의 모양을 잘 드러내는 평범한 아름다움이다. 감독 인터뷰에서 그렇게 말했다. "아마도 보통의 영화였다면 그런 장면에서 모델처럼 아름다운 20대 배우의 몸을 수증기로 감싸고 창문으로 들어오는 빛을 비추면서 페티시즘을 느끼게 하는 장면처럼 보여주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나는 일상 그대로의 모습을 그리고 싶었습니다. 엘라이자의 성적인 욕망은 페티시즘이거나, 다른 무엇도 아닌 그저 일상입니다." 인간다운 모습을 그리고 싶었다는 말이다. 과대포장 된 에로틱 씬이 아니라 자연스러운 욕구를 사는 몸을 가진 인간을 보여준다. 누군가 유일한 사람과 온전히 하나 되고 싶은, 나를 잃을 정도로 깊은 친밀감에 휩싸이고 싶은 간절함이 성욕의 심리적, 영성적인 측면이 아니겠나. 아침마다 자기 자신과 사랑에 빠졌던, 바로 그 욕조에서 괴생물체와 하나 되는 장면은 아름답고 아름답다. 장면 장면 엘라이저의 몸이 뿜어내는 에로스 에너지가 내내 내 몸을 끌어 당긴다. 





셰이프 오브 워터를 '셰이프 오브 갓"으로 읽어본다. 스트릭랜드(스트릭 랜드, strict land!)가 엘라이저와 젤다를 불러다 놓고 알리바이를 묻는다.  이 장면 대사에서 '신의 형상'을 읽는다. "두 다리로 서니까 인간처럼 보이지? 하지만 우린 신의 형상으로 창조 되었어. 저게 신의 형상으로 보이진 않잖나. 그렇지 않아?" 인간성 상실의 스트릭랜드가 젤다에게 묻는다. 젤다가 답한다. "글쎄요, 신을 본 적이 없어서" 이 장면에서 옆좌석 앉았던 남편이 터졌다. 웬만하면 관람 중 소리를 내지 않는 사람이 속삭였다. "영화 오두막에서 하나님으로 나와. 큭큭" 영화 <오두막>에서 파파 역을 맡았던 젤다 역의 옥타비아 스펜서가 "글쎄요, 신을 본 적이 없어서"란다. 


이 한 마디로 나는 읽는다. 참다운 인간성은 신의 형상이며 엘라이저와 젤다, 심지어 괴생물체라 불리는 그 역시 누구보다 신의 형상에 가까운 사람들이라고. 신의 형상을 따라 사람을 지으셨다고 한다. 그 신의 다른 이름은 사랑이다. 신의 형상을 따라 지어졌다는 것은 같은 재료, 사랑으로 지어졌다는 의미일 터. 결국 영화가 말하는 셰이프 오브 워터는 셰이프 오브 러브, 또는 셰이프 오브 갓. 한 가지 이야기일지도 모른다. 모든 사랑은 신의 사랑이다. 에로스와 아가페의 구분이 있단 말인가. 엘라이저의 욕조는 에로스가 담긴 곳, 사랑이 담긴 곳, 신의 형상이 담긴 곳이다. 

 




폭력의 화신이며 혐오와 배제의 존재인 스트릭랜드는 신의 형상인 자신을 확신한다. 괴생물체는 말할 것도 없고, 여성이며 흑인이며 청소부와는 질적으로 다른 인간이라고 말이다. 힘이 있고, 군림할 자격이 있고, 제힘으로 국가를 지킨다는 확장된 자아가 신의 형상일 리 없다. 인간의 몸을 입은 예수님의 삶은 공생애 기간 3년은 물론이고 이전 30년도 가난하고 무력한, 을의 삶이었다. 신의 형상을 찾고자 한다면 내 힘으로 무엇을 할 수 있다거나, 하겠다거나, 지켜내겠다는 이들은 피하고 볼 일이다. 신의 형상으로 이 땅을 산다는 것은 말하지 못하고, 조금 야생적이고 미개한 형태일지 모른다. 그러나 그는 생명과 평화와 사랑에 대한 탁월한 감각을 가졌고, 치유의 능력을 기본으로 장착하고 있다. 


내가 불완전한 존재란 걸 모르는 눈빛이에요. 나를 있는 그대로 봐주니까요.


사랑의 모양을 가장 잘 드러내는 대사로 꼽을 만 하다. 말을 못 하는 엘라이자는 평생 불완전한 존재로 살아왔겠으나,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바라봐주는 눈빛을 만났다. 그것이 사랑이다. 신의 사랑 역시 그러하다. '너는 존재 자체로 사랑받는 자야. 너는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나의 귀염둥이, 나의 사랑이다(이사야43:4, 공동번역)' 이것이 내가 믿는 신의 목소리이다. 더 깨끗하고, 더 정의롭고, 더 올바른 사람이어서가 아니라 괴물 같은 지금 그대로의 나일지라도. 어쩌면 엘라이자는 이미 그 목소리를 듣고 있었는지 모른다. 타인의 눈에 비친 자신이 말 못 하는 장애인이며, 청소부일지라도 그 눈빛에 규정되지 않는다. 춤추고, 자위하고, 옆집 게이 친구를 챙기며 홀로 충분한 일상을 살아간다. 이미 사랑이 장착되어 있다는 뜻이다. 


나는 신의 모양을 보았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