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젠가처럼 다시 '책만 보는 바보'로 살고 있다. 정해진 일상을 돌리는 것은 일도 아니고, 아무렇지 않고 잘 돌리고 있지만 뭔가 아무것도 하지 않고 책만 집착하여 사는 느낌이다.  아침에 눈을 뜨고 휴대폰의 시간을 확인, '오늘은 무슨 요일, 더 자도 될까'라고 생각하자마자 벌떡 일어난다. 식구들 일어나기 전에 조용한 '혼독(혼자 독서)' 시간을 확보해야지 싶어서다. 늦은 시간 네 식구가 다 모여 야식을 먹고, 떠들떠들 할 때도 '빨리들 들어가 자라, 빨리 들어가 자라' 속으로 주문을 외운다. 역시 '조용한 혼독'의 시간에 그 중독의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해야할 일을 다 하면서 책을 읽는데도 '책만 보는 바보'라고 나를 인식하는 것은 일종의 무기력감 때문이다. 그래, 내가 바보라는 느낌이 들고 뭘 잘하지 못한다는, 못할거라는 생각에 사로잡힌다. 책을 내고 책과 관련된 리워드 행사를 마치고 온 허탈감 때문일까. 꼭 그것만은 아니다. 생각보다 책이 인기를 얻지 못해서? 이유가 되기는 하지만 그것만도 아니다. 연구소 운영에 대한 부담감, 그것도 크지만 그것만으로도 설명되지 않는다. 전반적으로 '낮은 자존감' 상태라 할 수 있다. 


낮은 자존감의 주증상(어쩌면 주요 원인)은 글을 쓰지 못함이다. 블로그에 사진과 함께 두어 문장 끄적이다만 비공개 글이 수두록하다. 글을 엉덩이로 쓴다는 말이 있듯이 발행할 글이든 혼자 볼 글이든 고통을 감내하는 시간을 필요로 한다. 당연히 그 고통보다 큰 보상을 기대할 때 엉덩이 붙이고 앉아 인내하게 된다. 나는 무슨 보상을 바라고 글을 쓰지? 40여년 혼자 보는 일기를 썼고 10년도 넘게 블로그를 했으니 독자의 인정과 칭찬이 주요 보상은 아닐 텐데. 글쓰기 강의할 때는 '나를 나로 세우고, 나를 지키고, 나다운 나로 살게 하는 것'이 궁극적 보상이 되었다고 호기롭게 떠벌였다.


책만 보는 바보로 산다는 무력감에 빠진 건 글이 써지지 않아서 인가보다. 블로그 글은 물론이고 마지막 일기를 쓴 날이 언제인지 모른다. "아예 쓰지 못하는 것보다 후지게 쓰는 것이 두렵다"느는 테오도르 칼리파티데스와 달리 무지랭이 얼치기 작가인 나는 "후지게 쓰는 것보다 아예 쓰지 못하는 것이 가장 두렵다."라고 저저저저번 포스팅에서 말했었다. 생각해 보면 삶이 힘들고 어려울 때도 멈추지 않고 글을 쓸 수 있었다. 일이 잘 풀릴 때도 썼다. 그러니까 글이 써지지 않는 것은 외적인 성공과 실패, 심지어 그에 대한 정서 상태에 영향받지 않는다. 뱃속 저 깊은 곳에서 힘이 쭉 빠져나간 상태로 살고 있다. 이것이 단서가 되지 않을까. 나 따위가! 나 따위가! 나 따위가 뭘 할 수 있겠어! 이런 말이 들리는 것 같다. 힘이 빠져나간 뱃속에서 이런 벌레들이 조용히 기어다니고 있나. 그래서 '낮은 자존감'이란 말이 툭 튀어나온 것인가.


어쨌든 속시원히 설명되지 않는 '바보' 상태로 살고 있다. 책만 보는 바보. 바보랑 놀아주는 책이 있어 얼마나 고마지 모른다. 바보에게 즐거움을 줬고, 주고 있는 요즘 책들을 모아 촬영을 했더니! 모두 여성 저자이다. 마리 루틴와 어슐러 르 귄 같은 분은 넘사벽 같다. 그런 글, 나도 참 쓰고 싶은데. 레이첼 에반스는 작고 후에 읽게 되었다. 저자에 대한 아무 정보 없이 <성경적 여성으로 살아본 일 년>이란 책 제목에 선입관이 생겨 더 알아보지 않았었다. 작고 후 남편 추천으로 <교회를 찾아서>를 읽었는데 와, <신앙 사춘기>는 정신실판 <교회를 찾아서>였네! 정말 멋진 크리스천 페미니스트 여성이다. <성경적 여성으로 살아본 일 년>은 딸 채윤이가 빠져 읽고 있다. 여섯 권의 책, 모두 소중하다. 이대로 (책만 보는) 바보로 산다해도 좋을 만남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