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옥의 계절이다. 매년 이 즈음 프로필 사진은 한 번씩 홍옥이었다. 잠깐 나왔다 사라지는 홍옥은 예기치 못한 곳에서 만나곤 한다. 뭘 보면 그냥 지나칠 수 없는 것은 '기억'과 관련이 있다. 내게 홍옥은 엄마다. 홍옥을 볼 때마다 그냥 지나치지 못한 것은, 함께 있어도 벌써 그리운 야릇한 그리움 때문이었다. 머릿속으로 상상하던 그리움, 또는 두려움. 엄마 돌아가신 후 홍옥을 보면 얼마나 슬플까, 얼마나 그리울까. 가불 하여 미리 그리워했던 탓일까, 홍옥 한 입 베어 물며 눈물 뚝뚝 흘리는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 홍옥이 아니어도 자주 운다. 길을 걷다 울고, 운전하다 울고, 자려고 누워서 울고, 책을 읽다 운다. 이런 가을을 한 번, 두 번, 세 번...... 홍옥의 계절을 한 번, 두 번, 세 번...... 몇 번일지 알 수 없지만 보내고 보내다 엄마를 다시 만나게 될 것이다.


알아서 사다주겠지, 하는 생각을 버리니 나이스 한 가을이 되었다. 결혼 초부터 마음으로 바라고 때로 말하고 가끔 삐치던 것은 '알아서 소국 한 다발 사 오는 게 그렇게 어렵냐?"였다. 소국 화분 많이 나왔더라, 하나 사야지. 이런 식으로도 말고. 소국 사 와,라고 하면 "어? 어! 어, 어, 소국! 사다 줄게" 이렇게 되는 것. 차를 타고 과일 가게 앞을 지나다 눈 좋은 채윤이가 홍로와 홍옥을 구별해냈다. 차를 세우긴 늦어 지나쳤는데, 남편에게 주문했다. "사우나 건너편 과일 가게에 홍옥 있어. 홍.옥. 사.와. 소국 철이야. 소.국.도 사.와" 

 

 

노오~란 소국이 소담하게 담긴 노오란 화분, 빠알~간 홍옥을 들고 들어왔다. 거기에 초오~록 바질 화분도 하나. 조화롭도다, 조화롭도다! "이 바질은 화원에서 그냥 준 거야. 사모님 갖다 드리래" 여기서 사모님은 '사장님 사모님'이다. 단골 화원이 있는데, 교회에서도 거래하는 곳이다. 당연히 남편이 목사인 걸 아는데, 종교에 관심 없는 주인이 남편에게 "사장님, 사장님" 한다. 소국과 함께 온 바질만큼이나 신선하다. 그러고 보니 떠오른 기억 하나. 전에 수업 나가던 어린이 집에서 냠냠 선생님(아, 주방 선생님 아니고 냠냠 선생님!)과의 일화다. 함께 점심 먹으며 맛있다 칭찬도 많이 해드리고(실제로 맛있었다) 요리 팁도 얻곤 했다. 어린이집 냠냠 선생님보다는 괄괄한 식당 주인이 더 어울리는 캐릭터였다. 아, 그래서 아이들 용 국에다 고춧가루 풀어서 얼큰하게 만들어 준다든지 이런 걸 잘하셨던 것 같다. 아니다 다를까, 어린이집 그만두고 식당을 하신다고 마지막 날 인사를 했다. 정이 많이 들었던 터라 아쉬웠는데, 커다란 덩치의 푹신한 가슴으로 나를 퍽 안아주면서 "아놔, 음악 선생님 좋아했는데. 섭섭하네" 하더니. "식당이 이 동네니까 한 번 들러요. 남편 목사 아저씨하고 한 잔 하러 와요." 사장님, 목사 아저씨, 한 잔. 울타리 밖 언어들이 너무나 신선하고 좋다. 


올 가을 삼원색. 소국, 홍옥, 바질. 바질이 금메달!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