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엄마 아빠가 모처럼 긴 식탁 수다를 이어가고 있었다. 

주제는 '기도'였다.

안 듣는 척 옆에 앉았던 현승이가 깜빡이도 안 켜고 끼어들었다.


그런데 뭐 주세요, 뭐 주세요, 이렇게 해주세요, 저렇게 해주세요,

이런 기도는 잘못 된 거 아냐?


아, 뭔가 신앙적 성숙미 뿜뿜 풍기는 이 느낌.

왜애? 그게 왜 잘못된 기돈데?


아니, 그러면 하나님이 안 들어주시는 거 아냐?

막 뭐 주세오, 대놓고 말하지 않고 뭔가 쫌 돌려 말해야 잘 들어주잖아.

뭐, 나는 괜찮은데 당신 뜻대로 해주세요, 이런 식으로.


천잰데!

모태 바리새인의 아들답구나!


#2


현승이 베이스기타에 입문하였다. 방에서 딩딩디딩딩 하다 툭 튀어 나왔다.


엄마, 엄마는 찬송가 말고 CCM 같은 거에서 좋아하는 곡 있어?

좋아하는 곡이 워낙 많아서. 음, 지금 생각나는 건 '오 신실하신 주'

뭐야, 자기 이름 들어갔다고 좋아하는 거야?

아니 그게 아니고. 그 찬양 가사가 '하나님 한 번도 나를 실망시킨 적 없으시고' 이렇거든.

(말이 채 끝나기도 전에 아들 얼굴에 냉소의 빛이 어른어른. 

그 입에서 나올 말이 듣기 싫어 선수를 친다.)

물론! 하나님이 자주 실망시키시지. 현실은 찬양 가사와 다르다고 생각하지만, 내가 실망했다고 한 것도 결국 나중에 보면 그닥 실망할 것도 아니었더라고. 다른 뜻으로 더 좋게 된 것고 있고, 그렇지 않더라도 내가 생각지 못했던 것이 있더라고. 음냐음냐, 횡설수설, 횡횡설설수설수설, 그렇다는 거야.

(공감 1도 안 되는 표정)

그런데 신실하다는 게 무슨 뜻이야? 성실하다는 거야?

성실한데, 변함 없이 성실하다는 거야. 


그리고 설거지 하며 오토리버스 플레이어가 돌아간다.

하나님 나를 한 번도 실망시킨 적 없다는 것은 진실, 매일매일 그분께 실망하는 것도 사실.

믿어져서 부르는 건지, 안 믿어져서 더 부르는 건지.

믿음의 찬양인지, 불신앙의 찬양인지 자꾸 불렀다.


하나님 한 번도 나를 실망시킨 적 없으시고

언제나 공평과 은혜로 나를 지키셨네

오 신실하신 주 오 신실하신 주 

내 너를 떠나지도 않으리라 내 너를 버리지도 않으리라

약속하셨던 주님 그 약속을 지키사

이후로도 영원토록 나를 지키시리라 확신하네







자칭타칭 일기 쓰다 된 작가이다.

성덕, 성공한 덕질이라고도 한다.

글쓰기의 시작은 부조리였다.

아버지 돌아가시고 맨몸으로 겨울바람을 맞듯 마주한 부조리한 어른들의 세계였다.

일기 쓰다 작가가 된 것보다 더 놀라운 일은 일기 쓰다 치유가 되는 일이었다.

썼다. 부조리를 느낄 때마다 썼다.

목적 없이 썼다.

쓰지 않으면 달리 고통을 해소할 방법이 없어서 썼다.

달리 할 바가 없어서 선택한 그 일이 바로 고통을 치유하는 명약이 되었다.


다시 시작한 치유 글쓰기 모임이 4회기, 벌써 반이 지나간다. 

매력적인 여성을 발견했다.

상상 불가의 폭력 속에서 자란 이가 어쩌면 저렇게 빛나고 아름다울 수 있단 말인가.

그 어마어마한 폭력 속에서 자기 빛을 잃지 않고, 반짝이는 저 여인은!

한 회기 한 회기 지나며 자연스럽게 알게 되었다.

그는 썼다. 

자기 고통을, 이름 붙여지지 않는 고통을 썼다. 

세상이 내 말을 들어주지 않을 테니, 쓰는 나를 보는 내가 들어준다는 식으로 썼을 것이다.

생존의 필살기는 '쓰기'였다.


아, 나도 그랬던 거구나!


공선옥 작가도 그랬다.

어린 시절 친구들의 놀림과 따돌림을 받았단다. 

그것도 서러운데 선생이 놀리는 아이들 편을 들며 차별하니 가난하고 무력한 아이는 무엇에 기대랴.

기댈 바 없는 아이는 결심했다

너희들 다 글로 써버릴 거야!    


내가 아는 가장 멋진 여성 중 하나인 록산 게이도 그랬다.


시간이 생기기만 하면 글을 썼다. 아주 많이 썼다. 어린 소녀들이 잔인한 소년과 남자들에게 고문을 당하는 어둡고 폭력적인 이야기들을 썼다. 내게 일어난 일을 아무에게도 이야기할 수 없어서 똑같은 이야기를 천 가지의 다른 방식으로 썼다. 큰 소리로 말할 수 없는 어떤 것에 목소리를 부여하면 마음이 안정되었다. 목소리는 잃었지만 언어는 남아 있었다.

                                                                                                                                                  - 헝거록산 게이

젊은 시절에 그랬었다.

한낮의 고통이 클수록 밤을 기다리는 위안이 강렬했다.

집에 가서 쓸 수 있어. 집에 가서 쓰면 돼.

그리고 집에 가 식구들이 잠든 밤에 썼다. 쓰고 또 썼었다. 


뉴스앤조이에 연재하던 <신앙 사춘기>를 책으로 엮기 위해 글을 몇 편 더 쓰고 있다.

<신앙 사춘기> 연재는 그냥 연재글이 아니었다.

10여 년의 여정을 그대로 재경험 하는 일이었다. 

오래 농익은 분노에 성찰 한 스푼이 들어가여 화학반응이 일어나고 비로소 써지곤 했다.

분노, 억울함이 어떤 어떤 어떤 어떤 과정을 거쳐 연민이 되었을 때 글이 되었다.

어떤 어떤 어떤 어떤 과정의 지난함을 당신은 모른다.

억울함으로 금이 가고 분노로 타들어간 가슴을 당신은 모른다.

이젠 그 가슴을 아무도 몰라줘도 괜찮다.

내가 쓰고 또 쓰고 연재까지 하면서 충분히 알아줬으니.

<신앙 사춘기> 연재로 생각보다 더 많은 마음의 짐이 사라진 것 같다. 

지난 10여 년 글쓰는 힘은 '복수'였는지 모른다. 복수는 나의 힘. 

이제 더는 복수하지 않아도 될 것 같다. 충분히 했다 아이가! 

이제 더는 복수를 위한 글을 쓰지 않겠다.......고 작정한다고 될 일은 아니구나.


마지막 글을 남기고 있다.

저격하고 복수하고 싶은 마음이 활활 타버린 후 연민의 재가 남을 때,

그때까지 기다렸다 쓰겠다.



 

'마음의 여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팎으로 초록  (0) 2019.08.04
후지게 쓰더라도 쓸 수만 있다면  (0) 2019.05.04
작고 낮은 것  (0) 2019.04.01
100시간의 인내  (2) 2019.03.01
여든까지 지상에서 가장 안전한 곳?!  (2) 2019.02.1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