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16일은 아버지 추도식입니다. 1981년 12월 16일에 돌아가셨으니 35주기 추도예배를 드렸습니다. 아들과 사위가 함께 시간 내어 만날 수 있는 날이 추도식 날이 되고, 추도예배 시간이 됩니다. 주일 저녁, 다시 돌아온 아버지의 추도식입니다. 두 집 아이들이 일 년 중 가장 좋아하는 날이기도 합니다. 무슨 추도예배가 이렇게 재밌어?! 예배도, 예배 후에 맛있는 것 먹고 노는 시간도 즐겁기만 합니다. 어느 핸가 추도예배 마치고 들뜬 아이들 분위기에 부응하여 동생 입에서 툭 나온 말이 '얘들아, 오늘은 할아버지가 돌아가신 기쁜날이야!'해서 정말 대놓고 기쁜 날이 되었습니다. 35년 전 이즈음, 슬픔보단 두려움에 휩싸였던 중학교 1학년과 초등학교 4학년 남매는 어디 가고요?
저 유명한 책 <상처 입은 치유자>에서 나우웬 신부님은 이 시대를 진단하는 키워드로 '아버지 상실 세대'를 말합니다. 더 큰 인격과 능력을 믿지 않는 시대, 아버지 대신 또래가 기준이 되는 시대, 그리하여 결국 아버지 집으로 돌아갈 소망을 잃은 시대이지요. 오랜 내적여정, 영적인 방황 끝에 결국 저는 아버지를 잃은 그 사건 자체는 물론, 아버지 상실의 두려움과 공허감을 만났습니다. 에니어그램 내적여정으로 시작한 어린 시절 작업은 결국 <탕자의 귀향>처럼 '아버지 집'으로 가는 이정표 앞에 서게 했습니다. 지난한 시간이었습니다. 12월이 되면 유난하게 공허하고 유난히 슬픈 나머지 피정을 떠났었습니다. 채윤이가 중학교 1학년이었던 해의 12월이 가장 혹독했습니다. 그리고 떠난 기도피정에서 긴 여정의 작은 마침표 하나를 찍을 수 있었습니다. 그때 얻은 치유의 힘으로 다음 해 여름 코스타에서 간증이라는 이름의 자기 고백도 할 수 있었습니다.
딸로서 아버지를 잃는 것과 아들이 경험하는 아버지의 부재는 전혀 다른 고통이더군요. 남동생과의 친밀함이 유난한데, 아버지 돌아가시고 엄마와 힘을 합쳐 동생을 키운 느낌입니다. 아버지를 닮아 힘이 넘치던 동생은 중고들 시절 풀 수 있는 모든 방식으로 힘을 과시하며 살았습니다. 쉽게 말하면 비행청소년이었단 말씀. 늦게 만나서 기적처럼 딸을 얻었으면 만족할 것이지, 아들 하나 더 주시면 주의 종으로 바치겠다 서원했답니다. 우리 엄마가요. 그래서 생긴 동생이니, 어릴 적부터 꿈을 담보 잡힌 동생이 가엾어 보였습니다. 나를 바치지 않아서 참 다행이다 싶었는지도 모르겠군요. 엄마의 기도와 달리 동생은 바쳐진 아들답지 않게, 그런 동생을 보면서 나는 오히려 스스로 제물 되어 오직 교회의 딸로만 자랐습니다. 동생의 비행 스토리를 곁에서 지켜보며 대리만족이 컸던 것 같기도 하고요. 동생 역시 제 멋대로의 삶을 살고자 발버둥 쳤지만 신학교에 잡혀 들어가고 목사가 되고 말았습니다. 엄마와 함께 동생을 키웠지만 어느 때부턴지 강해진 동생은 아버지의 빈자리를 대신하는 든든한 버팀목이 되었습니다.
동생 내면의 이야기를 들어주고 상담해주며 함께 성장해갑니다. 같은 아버지를 잃은 동질감, 그러나 다르게 경험되는 아버지 부재는 내 문제를 보는 또 다른 눈을 열어줍니다. 세 아들을 키우면서 '부성'의 결핍이 어떤 두려움과 방어로 드러나는지 보게 됩니다. 그리고 정직하게 그 문제에 맞닥뜨리며 조금씩 자유로워지고 참다운 힘을 얻어가는 것이 대견하고요. 이렇듯 나우웬 신부님의 진단과 처방처럼 '아버지 상실'의 어두운 기억을 통과하여 아버지 품에 대한 그리움을 회복하고, 결국 집으로 돌아가는 여정에 오르게 되는 것입니다. <재즈처럼 하나님은>을 쓴 도널드 밀러 역시 아버지의 부재라는 화두를 붙들고 정직한 자기 이야기를 풀어간 작가이지요. 이 글의 제목 <아버지의 빈자리>는 그의 책 제목이기도 합니다.
아이처럼 천진해진 엄마와 다섯 아이와 함께 깔깔 웃으며 추도식을 보내고 와 생각합니다. '왜, 왜, 이렇게 아버지를 데려가셨나요. 하나님. 왜, 왜, 왜, 왜.....' 어릴 적 일기장 한 바닥을 '왜'로 채운 적이 있었지요. '왜'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그 일이 내 인생의 방향을 어디로 향하게 했는지는 조금 알 것도 같습니다. 태어날 때부터 눈먼 사람을 두고 '누가 죄를 지었기에 저렇게 태어났습니까. 저 사람 자신입니까, 부모입니까?' 묻는 제자들에게 '저 사람의 죄도 그 부모의 죄도 아니다. 하나님의 일을 저 사람에게서 드러내려고 그리된 것이다'라고 하신 예수님의 답변처럼요. 원인이 아니라 삶의 목적을 묻는, 질문의 전환이라 할까요. 35년 걸렸습니다.
아버지 장례식 앨범이 한 권 있습니다. 사진을 찍으려면 사진관에 가야했던 시절. 일상을 찍은 스냅사진 같은 것은 상상할 수 없었지요. 헌데 교회 집사님 중에 사진사 한 분이 계셨습니다. 소풍이나 운동회 때 기념사진 찍는 일을 주로 하셨던 것 같아요. 그 집사님께서 장례식의 과정을 내내 카메라에 담으셨고 한 권의 앨범으로 만들어주신 것입니다. 오랜만에 들춰보았습니다. 여러 번 봤던 이미지라 덤덤할 뿐이었는데 나란히 앉은 동생, 잘 생겼는데 사진에서는 뭉개져 있습니다. 낯선 느낌의 눈물이 흐릅니다. 울고 있는 저 아이들이 자기만 한 아이들을 키우는 부모가 되고, 입에 올리기도 두려웠던 '죽음, 아버지의 죽음'을 이렇게 말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정기적으로 아버지의 죽음을 복기해야 했던 추도식은 또 얼마나 무겁고 막막했는지요. 최근 몇 년 아버지 추도식 때마다 단체사진을 찍곤 하는데 사진에 담긴 마음이 새털처럼 가볍습니다. 할머니 몰아주기! 할머니 얼굴 제일 예쁘게 나오도록 모두 온 힘 다해 얼굴을 망가뜨립니다. (점잖으신 김 서방까지. 점잖아도 시키는 건 다 해요!ㅋㅋ) 아이들이 웃다가 쓰러져 뒹굽니다. 35년 된 아버지의 빈자리가 식구들 웃음소리로 가득 채워집니다. 울음이 변하여 웃음이 되었고, 두려움이 변하여 어른으로 서는 힘이 되었습니다.
'꽃보다 엄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먹을 수 없는 좋아하는 음식 (4) | 2017.04.04 |
---|---|
살아 있어 미안하다 (4) | 2017.01.11 |
꽃보다 엄마가 (2) | 2016.11.01 |
엄마와 하룻밤_실시간 중계 (2) | 2016.06.29 |
여자 엄마의 주일 (16) | 2015.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