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그리고 또 일상

안방 같은 블로그에서 징징대자

by larinari 2012. 8. 28.


 

40여 평생 가장 잔혹한 여름을 보내지 않았나 싶습니다.(어느 모임에 갔더니 '에어컨 없이 어떻게 사세요?' 하는 말을 듣고 '내가 비정상은 아니다'라고 위로를 얻었습니다.)딱히 원고 탓도 아니고, 갑갑한 방 안의 구조 탓도 아닐 터인데…….그나마 손을 댈 수 있는 환경이라 생각한 것인지, 남편이 방의 구조를 바꿔주었습니다. 침대에 장롱에 책상까지 들어앉은 방의 구조를 휴가 첫 날 끙끙거리며 재정비한 것입니다.


단출한 책상을 창가 쪽에 붙여줘서 시야가 탁 트였습니다. 게다가 방문과 책상 사이를 침대가 가로막고 있어서 수시로 들어오는 아이들의 어텍으로부터 차단효과도 있습니다. 글 쓸 일이 더 많아지고 있다며 어떻게든 해주고 싶어 했습니다. 지난여름 폭염 속 히스테리를 보고 놀란 가슴일지도 모르겠습니다.


남편이 설교 준비를 하면서 끙끙 앓을 때가 있습니다. '여보, 한 줄도 못 썼어. 기도해줘. 성령이 떠나셨나봐…….' 이런 메시지를 받을 때 강한 연민의 마음이 올라옵니다. 정말 혼자 가야 하는 길을 걷고 있음을 알기에, 그 '고독'에 대한 안타까운 마음이겠지요. (물론 연민이 장성하면 짜증을 낳기 때문에 몇 번은 격려하다가 갈구는 것으로 끝나기는 합니다만)


글쓰기 역시 고독한 작업입니다. 이렇게 최선을 다해 좋은 환경을 만들어 줬는데도 글을 풀리지 않고 생각의 언저리만 맴돌고 또 맴돕니다. 새털 같은 마음으로 블로그에 글을 올리던 그런 마음으로 좀처럼 회복되질 않습니다. 책을 낸 부담일까요? 저자라 불리며 덧씌워지는 거품에 대한 두려움일까요? 글쓰기가 목적이 되어야지 수단이 되지는 않았으면 합니다. 삶에서 글이 나와야지 글을 쓰기 위해 삶을 사는 건 재미가 없습니다. 이름이 알려짐으로 유혹에 빠져 그 순서를 뒤바꾸게 되는 것은 아닐까 염려가 되기도 합니다.


오늘 안으로 두 개의 원고를 다 마무리 하자는 야심찬 계획을 세워봅니다. 몸과 마음에 빡 들어간 힘을 빼고 내 안에 고인 이야기들이 줄줄줄 흘러나오면 좋겠다 싶습니다. 밖은 태풍으로 요란할지라도 내 마음은 깊은 바다처럼 고요해졌으면 좋겠습니다. 이럴 때, 블로그가 있어서 다행입니다. 이리 편하게 주절거릴 수 있으니 말입니다. 저자거리로 내보낼 원고를 쓰기 위해 한글 화면으로 옮겨갈지라도 마음만은 '안방 같은 블로그'에서 쓰듯 편안하게 써져야 할 텐데 말이죠.

 


 

'그리고 또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상이 기적, 기적이 일상  (12) 2012.11.09
나다움  (11) 2012.11.07
내게도 간증거리는 있다  (4) 2012.08.18
내가 청년이면 여기 간다  (2) 2012.06.01
다시 희망하며  (7) 2012.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