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3-1217년 사이에 지어졌다고 하는 이탈리아 라치오주 프로시노네 지방에 있는 카사마리 시토회 수도원

 
베네딕토 수도원 순례인데, 첫 순례지는 시토회 수도원인 카사마리(Abbazia di Casamari)이다. 시토회라니. 내게 수도원은 시토회(트라피스트) 수도원이다. 어째서 그러한지, 내 비밀 같은 이야기를 차차 풀어놓으려고 한다. (오늘 이야기가 다가 아니라는 뜻이다.)

들꽃은 어디나 있다. 개망초를 닮은 이 꽃의 이름은 '봄망초'이다.

 
나를 알고 남편을 아는 지인들은 '수도원 순례 여행' 간다는 말에 끄덕끄덕 하며 부럽다고 한다. 순례단에서는 신기한 일로 여긴다. 개신교인이, 그것도 목사 부부가 어떻게 여기를 함께 하느냐고. 하루 이틀 시간이 지나 안면을 트고 대화가 길어지면서 듣고 또 듣는 질문이다. 어떻게 여기까지 오게 되었을까.

수도원 영성이 내 마음에 훅 들어온 것은 대학원에서 '영성신학' 과목을 듣던 그때였다. 생 티어리의 기욤<Guillaume de Saint-Thierry 1085-1149) 저작 『황금서간』을 한 학기 묵상 과제로 받았다. 엄밀하게 말하면 과제 앞에 '묵상'은 내가 붙인 것이다. 주욱 읽고 리포트 쓸 책이 아니었다. 한 학기 내내 영적 독서로 정하고 아침마다 한 절씩 읽으며 묵상하게 되었고, 그 책이 내 마음을 적셨다. 
 
이 책으로 쓰신 교수 신부님의 논문은 오늘날의 신학에 대한 성찰로 시작한다. "모든 신학은 하나님이 사람과 어떻게 함께 하시는지 말해야 하고, 또 사람이 어떻게 하나님과 함께 할 수 있는지 길을 제시해야 하는데 오늘의 신학은 자신이 ‘학문’인 점을 강조하고 있을 뿐, 하느님과 사람 사이 가교임을 잊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다 보니 삶과 분리되어 사변적 학문에 머무르게 되었다고 진단한다. 시대는 바야흐로 영적인 시대가 되었고, 날이 갈수록 사람들의 영적 갈망은 커지는데, 삶과 분리된 신학은 신자들의 영적 갈망을 채워주기는커녕 진정한 내적 인간으로 살아가는데 필요한 양식을 전해주지 못한다는 것이다. 나는 사실 사변적인 신학들이 진정한 내적 인간 양식을 전해주기는커녕, 내적 인간을 만나지 못하게 하는 걸림돌이 아닐까 생각한다. 
 
논문을 읽고 공부하면서 영성과 신학 사이에서 내가 느끼는 어려움이 오늘의 일이 아닌 것을 알고 놀랐다. 12세기 스콜라신학이 등장하면서 수도신학과의 논쟁과 시대적 정황 속에서 어떻게 사변신학이 우위를 점하게 되었는지 공부하며 수도원 영성에 깊이 매료되기 시작한 것이다. 생 티어리의 기욤은 스콜라 신학의 시작점에 있었던 아벨라르두스와의 논쟁했던 (당시) 베네딕토회 수도승이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적 논증''을 통해 삼위일체를 증명하고자 했던 아벨라르두스와의 눈쟁에서 결국 이기게 된다. 논쟁에서 이겼고, 결국 아벨라르두스는 패자가 되었지만, 역설적이게도 12세기 이후 스콜라신학이 신학의 주류가 되었고, 오늘까지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스콜라신학, 즉 학교신학을 배우기 위해 사람들이 성당이나 수도원으로 모여들고 이들을 가르치는 일이 수도자들의 일이 되었다. 수도자들은 학교를 운영해야 했고, 병자를 돌본다거나 다양한 일을 집행해야 했다. 이렇듯 일이 많아지자 수도자들은 독방에 머무르면서 고요히 기도하는 것에 방해를 받게 되었다. 이때, 스콜라신학과 강의로 인기를 얻는 세속 성직자의 도전으로 인해 수도자들은 그동한 해오던 교육 사업으로부터 물러날 뿐 아니라, 교육에 대해 등을 돌리기까지 하는 수도원들이 생겼다. 특히 12세기 수도원 개혁에 앞장섰던 시토회에서는 세상에서 더욱 물러나 광야에 자리를 잡고, 다른 일보다 손으로 하는 노동과 함께 기도하며 살게 된다. 외적인 학교를 배제하고 내적인 학교를 사는 것으로 전향한 것이다. 
 
생티어리의 기욤은 시토회 개혁을 주도하던 클레르보의 베르나르도의 친구였다. 윌리엄은 1119년 생티에리 대수도원의 수도원장에 선출되자 행정보다는 명상과 저술에 몰두하고자 했지만, 친구인 클레르보의 베르나르두스의 권고를 받고서 그 직위를 지켰다. 결국 이후에 베네딕토회를 나와 시토회로 입회하였다. 『황금서간』은 카르투지오 수도회 소속의 수도원을 방문한 뒤 거기 수도사들에게 쓴 편지이다. <몽디외 형제들에게 보내는 편지>라는 제목이 붙어 있는데, 관상생활에 말 그대로 황금 같이 소중한 내용을 담고 있기에 '황금의 편지'로 불렸다. 12세기 쓰인 이 책을 한 학기 동안 읽고 기도하면서 '영적 독서'가 어떻게 기도인지 체험했다. 내적 인간을 위한 거룩한 수업을 받게 된 것이다.


『황금서간』은 아침마다 내게 마음의 '독방'으로 들어가라 가르쳤다. 수도원의 독방은 내적인 독방이라고. 거기는 하나님과의 비밀 같은 사랑을 간직한 곳이다. 내게 그런 독방이 있다. 카사마리 수도원 성당에 들어가 앉아 드리는 짧은 기도가 우리 집 거실에 앉아 드리는 기도와 다르지 않으니 내가 가는 곳이 그 방이다. 


수도원 수사님께 직접 안내를 받는 행운을 누렸다. 중세 수도원에 관해 책으로 배운 것을 눈으로 확인하고, 귀로 듣는 흥미진진한 시간이었다. 내게는 흥미진진이었는데, 일행들은 슬슬 자리 이탈을 하기도 했다. 식사하며 들으니 지루한 내용 듣는 것이 힘들었고, 빨리 끝내길 바라면서 "이제 그만!"을 여러 번 외쳤다고 한다. 그러며 열심히 듣고 메모하는 개신교 신자를 보고 반성했다고도. 아, 내가 불안하면 남도 불안한 줄 아는 것처럼 내가 재밌으면 다른 사람도 재밌는 줄 아는 게 '내 중심' 사고라니까! 자신이 살고 있는 집, 그 집의 역사를 들려주는 재미에 아이처럼 신이 난  수사님이 귀여웠다. 1960년대까지만 해도 100여 명이 살았는데, 지금은 15명의 수사님들이 살고 있다고. 이 넓은 집에서 15명이 사니, 그 집을 찾은 이들에게 영광스러운 역사를 들려주는데 신이 나지 않겠나. 그리고 내가 가장 가깝게 느끼는 시토회의 저 수도복... 용기 내어 사진 한 장 찍지 않을 수 없었다.

 

수사님들이 모여서 <베네딕토 수도규칙>을 읽었다는 방의 스테인드글라스이다. 왼쪽은 베데딕토 성인, 오른쪽은 딱 봐도 시토회의 사부 클레르보의 베르나르도. 나는 이 두 분을 알고, 내가 이분들을 알기에 이분들도 나를 알 것이다. 내가 수도원에 닿은 이야기, 지금 여기 이탈리아에 있는 이야기는 1500년, 900여 년 전에 하나님을 사랑하고 기도하던 이들과 연결되어 있다는 바로 그 이야기이다. 

+ Recent posts